소아과 총론 > 신생아 신경 질환/분만손상

말초신경손상/쇄골골절/사경

기본 개념

상완 신경총 마비 (Brachial Plexus Palsy)

  • 분만 중 아기의 목과 어깨가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경추 5번부터 흉추 1번까지의 신경 뿌리로 구성된 상완 신경총이 손상되어 발생

  • 거대아, 견갑 난산(shoulder dystocia), 둔위 분만 등에서 위험이 높음.

  • 손상 부위에 따라 Erb 마비와 Klumpke 마비로 구분


Erb Duchenne 마비 (Erb's Palsy)

  • 손상 부위: 상부 신경총(upper trunk), 즉 C5, C6 신경근 손상이 주 원인임. 상완 신경총 마비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

  • 임상 양상

    • 어깨의 외전과 외회전, 팔꿈치의 굴곡, 전완의 회외전 기능이 소실됨.

    • 이로 인해 팔이 몸통에 붙어 안쪽으로 돌아가 있고(내전, 내회전), 팔꿈치는 펴져 있으며, 손목은 굴곡된 특징적인 자세를 취함. 이를 "웨이터 팁 자세(waiter's tip posture)"라고 함.

  • 진찰 소견

    • 이두근 반사(biceps reflex)와 모로 반사(Moro reflex)가 마비된 쪽에서 비대칭적으로 소실되거나 약화됨.

    • 손의 쥐는 힘(grasp reflex)은 C8, T1 신경이 관여하므로 대부분 정상적으로 유지

    • 목빗근, 갈비뼈, 늑골/위팔뼈 손상 등 동반되었는지 평가 필요


Klumpke 마비 (Klumpke's Palsy)

  • 손상 부위: 하부 신경총(lower trunk), 즉 C8, T1 신경근 손상으로 발생함. 매우 드문 형태

  • 임상 양상

    • 손의 내재근(intrinsic muscles) 마비가 주 증상임.

    • 손가락을 펴는 근육은 정상이나 굽히는 근육이 마비되어 손이 "갈퀴손(claw hand)" 모양을 보임.

    • 손의 쥐는 힘이 약화되거나 소실

  • 동반 소견

    • T1 신경근은 경부 교감신경절과 연결되므로, 손상 시 동측의 Horner 증후군(안검하수, 축동, 무한증)이 동반될 수 있음


치료

  • 첫 1-2주동안 보조기 착용

  • 동반 손상이 없다면 팔꿈치, 손목, 어깨, 손가락을 포함한 위팔의 수동운동을 조기에 시작

  • 상부 마비가 예후가 더 좋으며 대부분 수개월 내 회복

안면 신경 마비 (Facial Nerve Palsy)

  • 원인: 가장 흔한 단일 말초 신경 손상임. 분만 중 안면 신경(제7 뇌신경)이 산도의 돌출부나 겸자에 의해 압박되어 발생

  • 임상 양상


    • 주로 얼굴 아랫부분의 근육 마비가 뚜렷하게 나타남.

    • 아기가 울 때 증상이 명확해짐: 입이 건강한 쪽으로 쏠리고, 마비된 쪽의 입꼬리는 처지며 움직이지 않음

    • 마비된 쪽의 이마 주름이 펴지고, 눈을 제대로 감지 못하여 눈을 뜨고 자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 수유 시 마비된 쪽으로 젖이나 우유가 샐 수 있음

  • 경과 및 치료

    • 대부분(90% 이상)은 일시적인 압박에 의한 것으로, 1-3주 내에 자연 회복

    • 눈을 감지 못하는 경우, 각막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인공 눈물 연고를 사용하고 안대를 해주는 것이 중요

    • 회복이 더딘 경우, 선천성 안면 신경 발달 이상(예: 뫼비우스 증후군) 등 다른 원인과의 감별이 필요

횡격막 신경 마비 (Phrenic Nerve Palsy)

  • 원인: 횡격막의 운동을 지배하는 횡격막 신경(C3, C4, C5 신경근에서 기원)이 분만 중 견인 손상을 받아 발생함.



  • 임상 양상

    • 상완 신경총 마비, 특히 Erb 마비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약 75%).

    • 호흡 곤란이 주 증상

    • 특징적으로 숨을 들이쉴 때 마비된 쪽 횡격막이 위로 올라가고 건강한 쪽은 내려오는 seesaw 운동이 관찰

  • 진단 및 치료

    • 진단은 흉부 X-ray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마비된 쪽 횡격막의 상승 및 움직임 저하를 확인하여 이루어짐.

    • 경미한 호흡 곤란은 산소 공급 및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음.

    • 심한 호흡 부전 시에는 환기 보조 시행

    • 대부분 1-3개월 내에 회복되지만, 1개월내에 호전이 없으면 자연 회복 가능성이 낮아 횡격막 주름술(plication)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


[1] 홍창의 12e, pg. 298-300

신생아 쇄골 골절

  • 분만시 골절이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부위

  • 임상양상

    • 골절 측 팔을 잘 움직이지 않음

    • 모로반사 비대칭 (골절측 팔 소실)

    • 골절 부위 통증, 마찰음이 있거나 불규칙한 뼈 만져짐

  • 치료 및 예후

    • 부목 고정 시 1주 이내 가골 형성됨

      **이때 보조기는 보호대, 석고, 붕대가 아니라 천으로 어깨 둘러싸는 strap,sling 을 사용

    • 예후 양호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