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 외/ 두개 내/ 두개골 손상
분만 손상 (Birth Injuries)
분만 손상은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힘(압박, 견인,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조직의 손상을 의미
대부분의 분만 손상은 경미하고 일시적이지만, 일부는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음
분만 손상은 크게 두개 외 손상, 두개골 손상, 두개 내 손상으로 분류
두개 외 손상
산류 (Caput Succedaneum)
정의: 분만 중 두피의 선진부가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부종성 종괴. 두피의 연조직에 혈액성 삼출물과 체액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함.
특징
경계가 불분명하고 부드러우며, 압력을 가하면 움푹 들어가는 압흔성 부종(pitting edema)을 보임.
봉합선을 넘음. 부종이 골막(periosteum) 위쪽, 즉 피하조직에 위치하기 때문
출생 시부터 관찰되며, 종종 두피에 자반이나 점상 출혈을 동반
경과 및 치료
특별한 치료 없이 출생 후 24~72시간 내에 자연적으로 소실
예후는 매우 양호하며, 후유증을 남기지 않음
두혈종 (Cephalhematoma)
정의: 두개골과 그 위를 덮는 골막 사이에 혈액이 고인 상태로 주로 분만 시 기계적 압력으로 골막 아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
특징
산류와 달리 봉합선을 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감별점.
이는 출혈이 특정 두개골(주로 두정골)의 골막 아래에 국한되기 때문경계가 명확하고, 초기에는 부드러웠다가 점차 단단해지며 파동성(fluctuation)이 느껴질 수 있음.
출생 직후에는 뚜렷하지 않다가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서서히 커지는 경향
경과 및 치료
대부분 2주에서 3개월에 걸쳐 서서히 흡수
흡수 과정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빌리루빈이 생성되어 신생아 황달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음.
드물게 혈종이 액화되거나 감염될 수 있으며, 석회화되어 수개월간 남아있을 수 있음.
일반적으로 천자나 배액은 감염 위험 때문에 시행하지 않음
모상건막하 출혈 (Subgaleal Hemorrhage)
정의: 두개골의 골막과 그 위의 모상건막(galea aponeurotica) 사이의 잠재적 공간에 발생하는 출혈
특징
출혈이 광범위한 공간으로 퍼질 수 있어 봉합선을 쉽게 넘어가며, 목덜미나 귀 뒤까지 파급될 수 있음.
촉진 시 파동성이 느껴지는 부종성 종괴로 나타나며, 자세를 바꿀 때 혈액이 이동
주로 흡입 분만(vacuum extraction)과 관련하여 발생 위험이 높음
이 공간은 신생아 전체 혈액량의 상당 부분(최대 260mL)을 수용할 수 있어, 대량 실혈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 빈혈, 응고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음
치료
저혈압, 빈혈, 황달을 동반하는지 관찰이 필요, 2-3주에 걸쳐서 소실
두개 내 손상
경막외 출혈 (Epidural hemorrhage): 신생아에서는 드묾. 두개골 골절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경막하 출혈 (Subdural hemorrhage): 뇌 표면의 교정맥(bridging veins)이나 대뇌낫, 소뇌천막의 정맥동이 찢어져 발생함.
대뇌낫 손상에 의한 경우 급격한 다량 출혈로 사망에 이르게 됨
연결정맥 출혈은 서서히 일어나면서 빈혈, 무호흡, 숫구멍 팽윤, 기면, 수유부진 구토, 경련등의 증상을 보임
분만과 관련 없는 출혈은 아동학대에 의한 것인지 조사해야함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외상성 출혈 중 가장 흔한 형태. 대부분 소량의 출혈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보챔, 수유 곤란 등을 보임.
진단 및 치료
진단은 뇌 초음파, CT,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짐.
치료는 출혈량, 위치, 임상 증상에 따라 결정되며, 보존적 치료부터 신경외과적 수술(혈종 제거술)까지 다양
두개골 손상
분만 중 강한 압력으로 인해 두개골에 발생하는 골절로,
대부분은 예후가 좋으나, 뇌 실질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두부 CT 촬영해서 골절과 동반된 두개내 손상 여부 확인이 필요함.
선상 골절 (Linear Fracture)
가장 흔한 형태의 두개골 골절임.
대부분 두정골에서 발견되며, 특별한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뇌 실질 손상이 동반되지 않으면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됨.
함몰 골절 (Depressed Fracture, "Ping-pong" fracture)
두개골의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상태로, 탁구공이 눌린 모양과 비슷함.
주로 겸자 분만(forceps delivery) 시 겸자 날에 의해 발생하거나, 태아가 산모의 골반뼈에 강하게 압박될 때 발생함.
함몰 정도가 경미하고 신경학적 이상이 없으면 경과를 관찰할 수 있음.
큰 함몰 골절은 증상이 없더라도 압박에 의한 뇌피질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교정
[1] 홍창의 12e, pg. 296-298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