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저체중 출생아, 과체중 출생아
신생아의 분류 및 정의
재태기간에 따른 분류
미숙아 (Preterm infant, 조산아):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
만삭아 (Term infant): 재태기간 37주 0일 ~ 41주 6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
조기 만삭아 (Early-term): 37주 0일 ~ 38주 6일
정상 만삭아 (Full-term): 39주 0일 ~ 40주 6일
후기 만삭아 (Late-term): 41주 0일 ~ 41주 6일
과숙아 (Post-term infant, 과기산아): 재태기간 42주 이상으로, 태반 기능 부전의 임상적 특징(피부 탈락, 피하 지방 감소 등)을 보이는 경우를 지칭
출생체중에 따른 분류
정상 체중아: 출생체중 2,500g 이상 4,000g 미만.
저체중 출생아 (Low birth weight infant, LBWI): 출생체중 2,500g 미만.
극소 저체중 출생아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VLBWI): 출생체중 1,500g 미만.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I): 출생체중 1,000g 미만.
과체중아 (Macrosomia): 출생체중 4,000g 이상
재태기간과 출생체중을 함께 고려한 분류
같은 재태기간의 신생아 100명을 체중 순으로 나열했을 때의 위치를 기준으로 분류함.
부당경량아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출생체중이 재태기간의 10백분위수 미만. 자궁 내 성장 제한(IUGR)과 관련이 깊음.
적정 체중아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출생체중이 재태기간의 10~90백분위수 사이.
부당중량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출생체중이 재태기간의 90백분위수 초과
초극소, 극소 조산아
임신 나이의 추정: Ballard score
평가 목적: 산모의 마지막 월경력이 불확실할 때 객관적인 재태기간을 추정
평가 항목
신경근육 성숙도 (6항목): 자세(Posture), 손목 굴곡(Square window), 팔 반장(Arm recoil), 슬와 각도(Popliteal angle), 스카프 징후(Scarf sign), 발뒤꿈치-귀 징후(Heel to ear).
신체 성숙도 (6항목): 피부(Skin), 솜털(Lanugo), 발바닥 주름(Plantar surface), 유방(Breast), 눈/귀(Eye/Ear), 생식기(Genitals)
NICU 관리
보온: 중성온도환경(Neutral thermal environment) 유지로 열손실 최소화. 인큐베이터, 캥거루 케어 권장
산소요법: 헤드박스, 비강 캐뉼라, CPAP 등을 사용. 적정 산소포화도(SpO2)를 유지하며 산소 독성(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망막병증) 최소화
영양
총정맥영양(TPN): 초극소 조산아는 출생 후 즉시 아미노산과 포도당을 투여해야함
경장영양: 초극소, 극소 조산아에게도 조기 장관 영양은 권장됨. 소량 (15-30mL/ kg/일) 으로 조기 시작하여 장관의 위축을 막고 성숙을 촉진
모유: 면역학적 이점, 소화 용이성, NEC 예방 효과 등으로 적극 권장됨. 경구 수유는 빨기와 삼키기의 조화가 필요한데 이는 대부분 GA 34주 이후에 가능
약물대사미숙: 다음 약물 사용시 유해반응 발생 위험
Chloramphenicol: 회색아 증후군 (Gray baby syndrome), 골수 억제
Tetracycline: 치아 착색, 법랑질 형성 부전, 성장 저해
Indomethacin: 장 천공, 신기능 저하, 혈소판 기능 장애
Aminoglycosides: 이독성(청력장애), 신독성
Oxygen: 미숙아 망막병증(ROP), 기관지폐 이형성증(BPD)
Erythromycin: 날문협착증
주요 합병증
중기 및 후기 조산아
중기 조산아: 32+0 ~ 33+6일 출생아
출생 후 유병률 높음
식이 진행의 어려움, 체중 감소, RDS, NEC, 체온 조절의 미숙
후기 조산아: 34+0 ~ 36+6일 출생아
만삭아와 비교했을 때 유병률, 사망률 유의하게 높음
출생직후 소생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저혈당, 호흡곤란, 무호흡, 식이진행 어려움, 황달위험 높음
과숙아
정의: 출생시 체중과 관계없이 GA 42+0 일 이상의 아기
태반부전증후군: 태반 기능 부전으로 인해 특징적인 임상 양상을 보임.
외모: 마르고 주름진 피부(양피지 같음), 피하 지방 감소, 솜털(lanugo) 및 태지(vernix caseosa) 소실, 손톱/발톱이 길게 자라 있음
양수와 태아가 태변으로 착색
피부의 desquamation
합병증: 주산기 가사, 태변 흡인 증후군, 신생아 지속성 폐고혈압증, 저혈당증 등
저체중 출생아 및 부당경량아 (SGA)
정의: 출생체중이 동일 재태기간의 10백분위수 미만인 신생아. 자궁 내 성장 제한(IUGR)을 반영함.
원인에 따른 분류:
대칭성(Symmetric) IUGR: 임신 초기에 발생. 염색체이상, TORCH 감염, 유전 등이 원인. 신장, 체중, 두위 모두 비례적으로 작음.
비대칭성(Asymmetric) IUGR: 임신 후반기에 발생. 만성 고혈압, 당뇨, 전자간증 등이 원인. 체중에 비해 두위는 비교적 정상(Brain-sparing effect).
출생 직후 처치
임신나이 산정, 약물복용력 확인, 저체온 예방
정맥혈 적혈구 용적률 측정
혈당 측정
선천 감염, 염색체, 유전적 이상 평가
주요 문제점: 주산기 가사, 저혈당증, 저체온증, 신생아 지속성 폐고혈압증(PPHN), 적혈구 증가증.
장기적 영향: 성인기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증가
과체중아 (LGA)
정의: 해당 임신 나이에서 출생체중이 90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또는 4,000g 이상인 신생아
주요 원인: 산모의 당뇨병이 가장 흔한 원인임. 그 외 산모의 비만, 과도한 임신 중 체중 증가, Beckwith-Wiedemann 증후군 등
주요 문제점
분만 손상: 견갑 난산(Shoulder dystocia), 쇄골 골절, 상완신경총 손상, 안면신경 마비 등.
대사 이상: 저혈당증(출생 후 모체로부터의 포도당 공급 중단 및 태아의 고인슐린혈증 때문)
혈액학적 문제: 적혈구 증가증 및 고점도 증후군(Hyperviscosity syndrome)
심장 문제: 선천 심질환의 동반 빈도 높음
다태아
위험성: 조산, 자궁 내 성장 제한(IUGR), 주산기 사망률 증가.
단일 융모막 쌍태아의 특수 합병증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태반의 혈관 문합을 통해 한 태아에서 다른 태아로 혈액이 이동하여 발생. 수혈아는 다혈증/양수과다증, 공혈아는 빈혈/양수과소증을 보임.
쌍태아 역동맥 관류열 (Twin reversed arterial perfusion, TRAP sequence): 한 태아(무심장 태아)가 다른 정상 태아(펌프 태아)로부터 혈액을 공급받아 기생하는 형태
당뇨병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특징: 과체중(LGA), 얼굴이 붉고 둥근 쿠싱양 외모, 풍부한 피하지방.
주요 합병증
대사 문제: 저혈당증(가장 흔하고 중요), 저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 출생 직후 1시간 이내에 수유를 시작하고, 첫 수유 후 30분 이내에 혈당검사 시행
호흡기 문제: 호흡곤란 증후군(RDS). 태아의 고인슐린혈증이 폐 계면활성제 생산을 억제하여 발생 위험 증가.
심장 문제: 비대성 심근병증 (약 30%에서 발생).
혈액 문제: 적혈구 증가증, 고빌리루빈혈증.
선천 기형: 임신 전 당뇨병 산모에서 위험 증가 (임신 초기 HbA1c 수치와 연관).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기형이 가장 흔하고, 꼬리 퇴행 증후군(Caudal regression syndrome), 장폐쇄, 신장기형 등 발생 가능
[1] 홍창의 12e, pg. 282-29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