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체 결핍증
보체 결핍증
병원체 제거, 염증 반응 조절 등에 관여하는 보체 시스템의 특정 단백질이 결핍된 질환군. 결핍된 성분에 따라 임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
보체의 역할
생체 내의 세포,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용해
염증 반응 유발
체액 및 세포면역 작용 조절
대식세포의 이동 유도 (chemotaxis), 탐식을 돕는 작용 (opsonization)
보체계 기능의 1차적 평가 방법
CH50 (총보체 용혈보체 활성도): 항체로 감작시킨 sheep erythrocyte를 50% 용혈시킬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하여 보체계 연관 질환을 선별하는데 활용
ex. 선천적으로 C1~C8이 결여되면 CH50은 거의 0에 수렴
C3/C4 농도 측정
정밀 검사
complement activity 측정
component / inhibitor 측정
초기 보체(C1, C4, C2) 결핍
면역 복합체 제거 기능 장애로 인해 자가면역질환, 특히 전신홍반루푸스(SLE)의 발생 위험이 매우 증가함.
피막성 세균에 의한 감염 위험도 약간 증가함.
후기 보체(C5-C9) 결핍
병원체 세포막에 구멍을 뚫어 파괴하는 막공격복합체(Membrane Attack Complex, MAC)를 형성하지 못함.
특히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is)에 의한 반복적인 수막염이나 패혈증에 매우 취약함.
C1 억제인자(C1 Inhibitor) 결핍
보체 활성화를 조절하는 C1 INH 결핍 시, 조절되지 않는 보체 활성화로 브래디키닌(bradykinin)이 과도하게 생성됨.
이로 인해 유전성 혈관부종(Hereditary Angioedema, HAE)이 발생함.
피부, 위장관, 상기도에 가려움증 없는 국소적 부종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후두부 부종은 질식을 유발할 수 있어 치명적
[1] 홍창의 12e, pg. 223-245
무비증 (asplenia)
면역기관으로서 비장의 역할
혈액 속 이물질 제거
encapsulated bacteria에 대한 옵소닌화/식균작용: IgM producing B cell (MZ B- Cell), 대식세포, 보체의 복합 작용
분류
해부학적 무비증: 선천성 asplenia, splenectomy(외상, 혈액질환, 종양 등)
기능적 무비증: 비장이 존재하지만 면역·여과 기능이 현저히 저하된 상태 (겸상적혈구병 sickle cell disease, 중증 비장경색, 비장 침윤(lymphoma, amyloidosis, sarcoidosis 등), 방사선 치료 후)
encapsulated bacteria에 대한 면역 반응 저하 → S. pneumonia, H. influenza, N. meningitides 감염 위험 증가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