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면역결핍증
식세포 이상증(Disorders of the phagocytes)
호중구와 같은 포식세포가 병원체를 인지하고, 이동하며, 삼키고, 죽이는 과정 중 하나에 결함이 생긴 질환군임. 주로 세균 및 진균 감염에 취약하며, 피부, 림프절, 폐 등에 반복적인 농양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
만성 육아종증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CGD)
특징
포식세포의 NADPH oxidase 효소 복합체 결함으로 인해 병원체 사멸에 필수적인 활성산소(respiratory burst)를 생성하지 못하는 질환
포식세포가 병원체를 삼키기는 하지만 죽이지 못하여, 면역세포들이 감염 부위에 계속 모여들어 육아종(granuloma)을 형성
X-연관 유전이 약 2/3
임상 양상
Catalase 양성균에 의한 반복적이고 심각한 감염이 특징임. (Catalase는 세균이 스스로 생성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포식세포의 공격을 피하게 함)
주요 원인균: 황색포도알균(S. aureus),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세라티아(Serratia), 노카르디아(Nocardia) 등.
피부 농양, 림프절염, 간농양, 골수염, 폐렴 등이 반복됨.
육아종 형성으로 인해 위장관이나 비뇨기계 폐쇄가 발생할 수 있음.
진단
호중구의 활성산소 생성 능력을 평가하는 DHR test 또는 NBT test로 진단함. DHR test에서 활성산소 생성이 없는 곡선이 관찰됨.
치료
평생 예방적 항생제(TMP-SMX)와 항진균제(Itraconazole) 복용이 필수적임.
인터페론 감마(IFN-γ) 피하 주사는 감염의 빈도와 중증도를 줄이는 데 효과적임.
근본적 치료로 조혈모세포이식을 고려
백혈구 부착 결핍증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특징
백혈구가 혈관 내피세포에 부착하여 감염 부위로 이동(chemotaxis)하는 데 필요한 표면 부착 단백질(integrin 등)에 결함이 있는 질환
중성구는 증가해있지만 염증반응은 현저히 떨어져있음
임상 양상
배꼽 탈락 지연 (Delayed umbilical cord separation): 생후 3주가 지나도 배꼽이 떨어지지 않는 것이 매우 특징적인 소견
반복적인 심한 세균 감염이 발생하지만, 백혈구가 감염 부위로 이동하지 못해 고름(pus)이 형성되지 않음 (cold abscess)
심한 치은염 및 치주염이 조기에 발생함
상처 치유가 지연됨
혈액 검사에서 감염이 없어도 호중구 수가 매우 높게(10,000~30,000) 유지됨 (혈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혈액 내에 머물러 있기 때문)
진단
임상 양상과 혈액 검사 소견으로 의심
유세포 분석으로 확진
치료
감염시 광범위 항생제 / 예방적 항생제 (TMP SMX) 투여
증상이 심한 경우 조혈모세포이식
Chediak-Higashi 증후군
특징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
중성구의 탈과립 장애로 인해 감염 반복
눈과 피부의 부분적 백색증
진행성 말초 신경병증
치명적인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발생 가능
임상 양상
백색증: 옅은 피부색/모색, 광과민, 회전안진
반복적인 감염 (S.aureus m/c, 그람 음성균, 진균)
신경병증 : 10대에서 발생, 운동싱경/지각신경/조화운동불능
합병증: 범혈구 감소증, 고열,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진단
중성구 감소증, 혈소판 이상
PB wright stain/peroxidase stain - 유핵세포 내 거대과립 관찰시 확진
치료
고용량 ascorbic acid 투여시 일부 증상 완화
조혈모세포 이식이 유일한 치료, 이식 후에도 말초신경병증은 계속 진행함
[1] 홍창의 12e, pg.223-245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