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유전 대사질환 (Inborn errors of metabolism)

유전대사질환 개요

기본 개념

진단적 접근

  • 초기 증상: 신생아기나 영아기에 비특이적 증상으로 발현하는 경우가 많음.
    출생시 정상→ 식욕 부진, 수유 후 2-3일 후 구토, 기면, 경련, 호흡곤란

  • 만성 증상: 신생아기 급성 증상에서 살아남거나, 잔존 효소가 적은 농도로 남아있어 증상이 늦게 발현하는 경우

    • 발달 지연, 성장 장애, 간비대, 특이한 얼굴 모양, 냄새 (소변, 땀)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급성 대사 위기: 감염, 예방접종, 수술 등 스트레스 상황에서 급격히 악화될 수 있음. 대사성 산증, 고암모니아혈증, 저혈당 등 동반

  • 급성 대사 장애의 치료

    • 원인이 밝혀질 때까지 수유 금지

    • 이화작용(catabolism) 차단: 10% 포도당 + 지방투여 , 수용성 비타민 대량 투여

    • 고암모니아혈증/대사산혈증 동반시 적극 치료: 혈액투석

    • 특이 약물 치료: 고암모니아혈증 시 Sodium benzoate, Arginine 등 투여

  • 장기적 치료

    • 식이 요법: 특정 영양소 제한 (예: PKU에서 페닐알라닌 제한), 특수 조제 분유 사용.

    • 전구물질 제거 치료: 독성 물질의 전구체를 제한하는 식이요법.

    • 결핍 물질 보충: 대사 과정에 필요한 최종 산물 보충.

    • 보조인자/비타민 요법: 대량의 비타민 투여로 잔존 효소 활성을 높임 (예: Methylmalonic acidemia에서 Vitamin B₁₂).

    • 효소 보충 요법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든 효소를 정맥 주사 (예: 고셔병, 파브리병, 폼페병). 혈뇌장벽(BBB) 통과 한계가 있음.

    • 소분자 치료 (Small Molecule Therapy): 기질 감소 치료(Substrate reduction therapy), 화학적 샤페론 치료(Chemical chaperone therapy) 등

    • 장기 이식: 간 이식, 골수 이식


[1] 홍창의 12e, pg 172-17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