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소장 내에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해 이로 인해 설사, 지방변, 대구성 빈혈등이 동반되는 질환군
위험요인
소장의 운동성이 떨어지거나 구조적 이상 등으로 소장 내 내용물의 흐름이 정체되는 경우와 관련 (위절제술 후, 당뇨병, scleroderm 등)
hypochlorhydia, achlorhydia
PPI 복용
증상 : 설사, 지방변, Megaloblastic anemia, 복부팽만
특징적 검사소견
비타민 B12 결핍 (세균이 소모) → 거대적혈모구 빈혈
엽산 증가 (세균이 합성)
진단
수소 호기 검사 : Lactulose, C-xylose, 75g-OGTT
→ 복용 후 90분 이내에 호기 수소 농도가 baseline보다 20ppm 이상 오르는 경우 진단
근위 공장의 fluid 흡인 배양 (Gold standard이나 비현실적인 검사법)
임상적으로 의심하고, 치료 후 반응으로 진단하기도
치료
기저질환 치료 (구조적 이상으로 정체시 수술로 교정)
경구 항생제 투여(10-14일) : Rifaxmin (장관에서 흡수되지 않는 항생제)
/ 그 외 Metronidazole, doxycycline, amoxicillin/clavulinic acid 등
[1] Harrison 22e, pg.2543
[2] ACG Clinical Guideline: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15(2):p 165-178, February 2020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