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흡수 장애

짧은 창자 증후군

기본 개념

짧은 창자 증후군

  • 정의: 광범위한 소장 절제 후 잔여 소장이 200cm 미만인 경우 나타나는 여러 임상양상

  • 병태 생리

    • 회장 절제: 비타민 B12 흡수장애, 담즙산 재흡수 장애

      • <100cm 절제: 담즙산이 대장 자극 ⟶ 분비성 설사

      • 100cm 절제: 담즙산 부족 ⟶ 지방변(steatorrhea)

    • 대장(Colon) 보존 시: 옥살산(oxalate) 흡수 증가 ⟶ 신장 결석 위험

  • 증상 : 수양성 설사, 지방변, megaloblastic anemia, 콜레스테롤 담석, 옥살산신결석 등

  • 치료

    • acute stage: 설사 조절 (opiates, loperamide, atropine 등), 체액/전해질 교정, 경구영양이 불가능할 경우 TPN 시행, 장절제 후 1년간 위산억제제 사용 → 점진적 경장 영양 시도

    • 이후: 결장 보존시 저지방, 고탄수화물 식이, medium-chain TG 섭취

      • 지속적으로 경관영양이 불가능할 경우 home PN 시행, 소장 이식 고려

      • GLP-2 analogue (teduglutide) : PN dependent 환자에서 의존도를 20% 감소시킴


[1] Harrison 22e, pg.2548-254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