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소의 흡수
근위 소장 (십이지장 등) : 철, 칼슘, 엽산 등 흡수
회장 : Vit. B12(코발라민), 담즙산 등 흡수
소장 :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 흡수
흡수 장애의 분류
관강 내 소화 장애 (Luminal Phase)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 (만성 췌장염, 낭성 섬유증)
담즙산 농도 저하 (간질환, 세균 과다증식, 회장 절제)
점막 흡수 장애 (Mucosal Phase)
효소 결핍 (유당분해효소 결핍)
점막 질환 (셀리악병, 휘플병, 열대성 스프루)
3. 흡수 후 운반 장애 (Post-absorptive Phase)
림프관 폐쇄 (장 림프관확장증, 림프종)
주요 증상 및 진단 접근
주요 증상: 만성 설사, 지방변, 체중감소, 창백
선별검사
CBC, 칼슘, 마그네슘, 알부민, 콜레스테롤
빈혈이 확인되는 경우 ferritin, cobalamin, folate 수치 측정
철, 칼슘, 엽산, 코발라민 저하 → 점막 기능 저하
지방변, 만성 음주력 → 췌장 기능 저하
악성 빈혈 → 코발라민 결핍
지방변, 만성설사, megaloblastic anemia, 복부팽만 → 세균 과다증식 (SIBO)
핵심 검사
지방변 검사
Sudan III 염색: 정성검사
72시간 대변 지방 정량검사 (>7% or >7g/day): gold standard
췌장 기능: 대변 엘라스타아제(fecal elastase) 감소
점막 기능: 소장 조직검사(biopsy)
세균 과다증식: 락툴로스/포도당 호기 수소 검사
검사결과가 모호한 경우 → D-xylose 흡수 검사 시행 (탄수화물 흡수 & 근위소장 점막 기능)
D-xylose 검사 : 25g D-xylose를 복용 후 5시간 동안 소변을 모아 소변 내 D-xylose 정량
→ 4.5g 미만 : 근위소장 점막 질환
→ 4.5g 이상 : 소장 점막 정상, 소화효소 장애 의심
4) 담즙산 설사와 지방산 설사 구분
[1] Harrison 22e, pg.2540-2551
해리슨 21판부터 실링검사 내용이 빠졌다. 미국에서도 이제는 더이상 잘 사용하지 않는다. 위장, 소장, 회장 등의 어느 한 기능의 문제로만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참고사항으로 정리만 해놓을 수 있다.
국시에서는 이렇게 자세하게 나오진 않았다. 하지만 참고용으로 흡수장애 관련 병들이 어떤게 있고 이들을 조직검사로 구분할 수 있음은 알고 넘어가자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