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위장관 출혈

위장관 출혈 개요

기본 개념

위장관 출혈의 초기 접근

  • 초기 평가: 활력 징후

    • 혈색소 수치는 급성 출혈 시 즉각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심박수와 혈압으로 혈역학적 상태를 먼저 평가해야 함

  • 초기 소생술: 말초 혈관 확보, crystalloid 투여, 필요시 수혈

  • 수혈 기준

    • 제한적 수혈(Restrictive transfusion)이 원칙. Hb < 7 g/dL일 때 수혈 권장

상부위장관 출혈의 하부위장관 출혈과의 감별

GI bleeding은 우선 상부 위장관 출혈인지 하부 위장관 출혈인지 판단 후, 뒤에서 설명할 상부와 하부 위장관 출혈 각각의 management 과정을 밟는다.


(1) 상부위장관 출혈을 시사하는 소견

  • 토혈(Hematemesis): 선홍색 피 또는 "커피 찌꺼기" 양상

  • 흑색변(Melena): 타르 같은 검고 끈적한 변. 혈액이 위장관 내에서 14시간 이상 머물 때 형성 ⟶

    주로 UGIB 시사

  • 장음 항진(hyperactive bowel sound): 상부위장관 출혈을 시사

  • BUN ↑ (High BUN/Cr ratio): 상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small intestine을 통과하면서 blood protein이 흡수되기 때문에 BUN이 증가


(2) 하부위장관 출혈을 시사하는 소견

  • 혈변 (Hematochezia): 선홍색 또는 적갈색 혈변 ⟶ 주로 하부위장관 출혈(LGIB) 시사.
    단, 대량의 UGIB 시에도 나타날 수 있음


[1] Harrison 22e, pg.316-319

1개의 글


by

낙지조기비빔밥

·

2024년 5월 26일

혈변은 hematochezia 아닌가요?

혈변 (Hematemesis)로 서술되어 있어 문의 드립니다.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