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토는 대표적인 obstructive symptom을 시사하는 소견이지만, 위장관의 급성 염증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으므로 여러 감별 진단을 고려해야한다.
소화기계 원인
폐쇄성 질환: 유문 폐쇄, 소장/대장 폐쇄, SMA syndrome 등
염증성 질환: 담낭염, 췌장염, 충수염, 간염 등
감각운동기능 이상: 위마비, 장 가성 폐쇄, 기능성 소화기 질환 등
비소화기계 감별진단
CNS 질환: 두개내압 상승, 뇌수막염 등
심폐질환
정신과적 질환
임신
요독증, 케톤산증, 부갑상선/갑상선 질환, 부신기능저하증 등
[1] Harrison 22e, pg.291-294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식도 폐쇄, Achalasia
담즙성 구토(녹색): 병변 부위가 ampulla of vater 하부
비담즙성 구토: 병변 부위가 ampulla of vater 상부 (위 날문부 협착 등)
토혈: 상부위장관 출혈 시사
[1] Harrison 22e, pg.291-294
구토는 아래와 같은 기전으로 유발되며, 따라서 항구토제로는 이들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을 사용하게 된다.
[항구토제 종류]
도파민 길항제 (Dopamine antagonists): D2 receptor에 대한 도파민 작용 감소
Metoclopramide, Domperidone
→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존재
→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구토제
→ pheochromocytoma, 파킨슨병, 장마비/위장관출혈/천공 환자에서 사용 주의
Droperidol, haloperidol
Chlorpromazine
세로토닌 길항제 (5-HT3 antagonist)
Ondansetron, granisetron, palonosetron 등 → 주로 항암환자에서 사용
Neurokinin-1 수용체 길항제
aprepitant → 항암환자의 구역구토 예방에서 사용
Corticosteroids
Dexamethasone → 항암환자, 수술 환자의 구역 구토 치료/예방에서 사용
항콜린제 (M1 block)
스코폴라민 (scopolamine, = 키미테 패치의 성분)
→ 적응증: 차멀미, 배멀미, 수술 후 오심/구토
→ 금기/주의사항: 폐쇄각 녹내장, 소변저류(BPH), 위장관 폐쇄, 빈맥성 부정맥
항히스타민제 (H1 block)
cyclizine, meclizine, dimenhydrinate
[1] Harrison 22e, pg.291-294
[2] Goodman 14e, pg.1100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