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소화기계 증상

복통

기본 개념

복통의 기전

  • 벽측 복막의 염증 (Parietal Peritoneal Inflammation)

    • 특징: 꾸준하고 쑤시는 듯한 통증 (steady and aching)

    • 위치: 염증 부위 바로 위, 국소적으로 명확함 (somatic nerve를 통해 전달)

    • 악화 요인: 압력, 긴장 변화 (기침, 재채기, 촉진)

    • 자세: 환자는 움직이지 않으려 함

    • 복벽 강직: 반사적 근육 경련 동반

    • 자극 물질에 따른 통증 강도: 위산 > 췌장액 > 대변 > 담즙 > 혈액, 소변


  • 내장기관의 폐쇄 (Obstruction of Hollow Viscera)

    • 특징: 간헐적, 산통 (colicky), 명확하지 않은 위치

    • 소장 폐쇄: 배꼽 주위 또는 상복부 통증, 교액성 폐쇄 시 허리 통증

    • 대장 폐쇄: 하복부 통증, 강도는 약함

    • 담도계 팽창

      • 급성 팽창: 2-3시간 지속되는 우상복부 통증

      • 만성 팽창: 통증이 없거나 매우 경미함

      • 담낭 팽창: 우상복부 통증, 우측 후방 흉곽 또는 견갑골 끝으로 방사

      • 총담관 팽창: 상복부 통증, 허리 상부로 방사

    • 췌관 팽창: 총담관 팽창과 유사, 누우면 악화되고 일어나면 완화됨

    • 방광 폐쇄: 치골 상부의 둔하고 약한 통증

    • 요관 폐쇄

      • 방광 내 요관: 치골 상부 및 옆구리 통증, 음경/음낭/허벅지 내측으로 방사

      • 신우요관 이행부: 늑골척추각 통증


  • 혈관 장애 (Vascular Disturbances)

    • 상장간막 동맥 폐쇄

      • 초기에는 지속적이고 경련성의 미미한 통증 이 2-3일 지속되다가 혈관 허탈 발생

      • 지속적이고 넓은 범위의 통증이 존재하나 압통이나 복벽 강직은 없음 (“pain out of proportion to physical finding”)

      • 완전 폐쇄의 경우 극심한 통증이 초반부터 나타날 수 있음

    • 복부 대동맥류 파열 임박: 천골, 옆구리, 생식기로 방사되는 심한 통증


  • 복벽 (Abdominal Wall)

    • 특징: 지속적이고 쑤시는 통증

    • 악화 요인: 움직임, 오래 서 있기, 압력


**연관통 (Referred Pain)

  • 상복부 통증 시 항상 흉곽 내 질환 감별 필요

    • 의심 질환: 심근경색, 폐렴, 심낭염, 폐색전증, 식도 질환

    • 횡격막 흉막염: 우상복부 통증, 쇄골상부 통증 유발 가능 (담도계 질환의 견갑하 통증과 감별)


  • 흉곽 질환 유래 연관통의 특징

    • 호흡 시 해당 부위 흉곽의 움직임 감소

    • 복부 근육 경련이 흡기 시 감소

    • 연관통 부위 촉진 시 통증이 악화되지 않거나 오히려 완화됨


  • 기타: 척추 (기침, 재채기 시 악화), 고환/정낭 (압박 시 악화)


[1] Harrison 22e, pg. 109-113

복통 위치별 감별진단


[1] Harrison 22e, pg.109-113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