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별진단: GERD, 기능성 소화불량, 식도/위 궤양, 종양 등
기질적 질환을 시사하는 소견 (Alarm symptoms)
연하곤란, 연하통
설명되지 않는 체중감소
반복적인 구토
위장관계출혈
황달
종괴, 림프절 비대
위장관 암의 가족력
진단 및 검사
해리슨 22판 변경 사항
과거에는 60세 미만이면서 경고증상이 없는 경우 위산억제제 치료를 바로 시행하였으나,
이제는 40세 미만이면서 경고증상이 없는 경우 우선 비침습적인 H.pylori 검사를 시행해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 제균치료를, 음성인 경우 위산억제 치료를 시행하도록 변경되었다 (“Test and treat 전략”)
40세 이하, Alarm symptom이 없이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 비침습적인 검사 (stool antigen, UBT)로 H.pylori 감염상태를 우선 확인
감염 양성: 제균치료 → 제균치료 후 증상 지속시 내시경 시행
감염 음성: 경험적 H2RA 치료
40세 초과 or Alarm symptom (+) or 치료 불응성 소화불량: 상부위장관 내시경 필요
[1] Harrison 22e, pg. 300-302, 2531
정의: 기질적 이상이 발견되지 않지만, 위장관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진단: Rome IV Criteria
아래 증상 1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전부터 시작, 최근 3개월 이내에 존재
1) 불편한 식후 포만감
2) 조기 포만감
3) 상복부 통증
4) 상복부 쓰림
증상을 설명할 수 있는 구조적 질환의 증거가 없음 (내시경 정상)
치료
생활습관 교정: 알코올, 카페인 등 줄이기, 저지방식 등
약물 치료
강한 권고(1st line): 산 분비 억제제, 위장운동 촉진제
산 분비 억제제: PPI, H2 blocker(cimetidine, ranitidine 등)
위 운동 촉진제: Metoclopramide, Domperidone, Mosapride 등
약한 권고: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위 저부 이완제
위 저부 이완제: Buspirone
[1]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임상 진료 지침 개정안 2020, pg.118, 121-129
[2] Rome IV Criteria, Functional Dyspepsia
Dopamine antagonists
Metoclopramide, Domperidone, itopride, levosulpride
5HT4 agonist
Mosapride
Motilin receptor agonist
azithromycin, erythromycin, clarithromycin
5HT1A agonist
Buspirone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