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위장관) > 소장/대장 질환 > 결장암 (colon cancer)

결장암으로 인한 장 폐색시 치료 질문

  • by

  • ·

  • 2025년 4월 4일

위쪽 stage별 치료에서는 stage IV일때 고식적치료에서 폐색증상시 스텐트 삽입이 있습니다.

그런데 밑에 ‘추가개념’칸에는 폐색시 장절제전에 스텐트로 감압후 장절제라고 되어있네요.

그러면 stage와 상관없이, 즉 림프절 전이나 원격전이 여부와 상관없이 stage2,3이라 하더라도

폐색이 생기면 스텐트로 감압 후 interval colectomy가 현재로서 우선치료라는 말씀이신가요?


1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4월 4일

결장암으로 인해 폐색이 발생했을 때 스텐트를 이용한 선행(bridging) 감압 후 ‘간격을 두고 수술(interval colectomy)’을 시행하는 개념은, 기본적으로 암 병기(stage)와 직접적으로 연동되지 않고 “응급수술 없이도 내시경 스텐트로 장을 안전하게 감압할 수 있느냐”가 핵심 기준이 됩니다.

즉, 폐색이 심하여 장 천공 위험이 높거나 장허혈이 의심되지 않는 한, stage 2나 stage 3에서도 ‘좌측 결장’에 국한된 폐색이라면 스텐트 삽입을 통한 감압(bridging)을 우선 시도하고, 이후 전신 상태가 안정된 시점에 계획 수술(interval colectomy)을 시행하는 것이 최근 권고사항입니다(2022 ASCRS 권고안 등).

다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스텐트를 쓰기가 어렵거나 금기가 될 수 있으므로, 급성기 수술(Hartmann 수술, 일차문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장허혈, 천공 등의 응급 징후가 있는 경우
  2. 스텐트 삽입이 해부학적으로 어렵거나 실패한 경우
  3. 종양으로 인한 내강이 매우 좁아 스텐트 통과가 불가능한 경우

실제 임상에서는,
Stage 4에서 전이병변이 광범위하여 완치가 어려우면 폐색 증상 완화(고식적 목적)로 스텐트 삽입 또는 장루를 고려합니다.
Stage 2 ~ 3이면서 종양이 완전히 절제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응급수술보다 스텐트 감압 후 단계적 수술을 함으로써 수술 전 장정결 기회 확보, 전신상태 최적화, 수술 후 합병증 감소 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폐색이 발생하면 무조건 Stage 4에서만 스텐트를 쓰는 것”이 아니라, Stage 2나 3라도 좌측대장 폐색이 있을 때 스텐트로 일시 감압 후 수술받도록 하는 방법이 최근 표준치료 중 하나입니다. 물론 환자의 임상 상태나 종양의 위치·특성, 병원 내시경 장비 및 술기 가능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1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