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의 영양

모유 영양

기본 개념

모유 영양

1) 초유: 출산 후 2-4일까지 분비되는 모유

  • 단백질, 칼슘, 무기질 많이 함유 / 탄수화물, 지방은 적게

  • IgA, Lactoferrin, 백혈구 많이 포함

  • 성숙유에 비해 칼로리 낮음

  • 성숙유에 비해 소화 용이하지 않음 (자연적 설사)


2) 모유 장점

  • 각종 항체 및 방어인자를 포함

  • 호르몬, 성장인자 함유 (장 점막 발달 촉진)

  • 우유 알레르기나 불내증에 의한 증상 적음

  • 필수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음

  • 산후출혈 적게, 산후 뼈의 재골화


3) 모유 수유시 유의사항

  • 출산 후 되도록 빨리(30분-1시간 이내) 모유 수유를 시작하도록!

  • 아기가 원하면 언제든지 수유

  • 24시간동안 8-12회, 한쪽 유방 10-15분 빨리기

  • 모유 수유중에는 고무 젖꼭지 / 우유병을 빨리지 않도록

  • 제왕 절개 분만에서도 아이와 산모 모두 정상이면 회복실에서 바로 수유, 마취로 분만시에는 마취에서 완전히 깨어난 후 곧바로 수유

  • 산후 1주일간 젖이 많이 나오지 않음을 임산부에게 미리 고지해서 수유 포기하지 않도록, 젖을 완전히 비우게 해야

  • 젖물기 및 빨기 정상인지 보기 위해 기저귀 수 세기

    • 생후 3-4일 아기는 적어도 소변으로 천 6-8개 기저귀(일회용 기저귀로는 5-6개), 대변은 100원짜리 동전 크기로 하나 이상 보이는 기저귀 적어도 3-4개 나와야


4) 모유 수유시 문제점

유두 통증 : 대부분 잘못된 젖 물리기와 수유자세. 젖물리기와 수유 자세 교정했음에도 유두 통증 지속시 칸디다 감염 의심

유방 울혈 : 유방을 완전히 비워주지 않으면 분만 2-7일째 주로 발생, 자주 수유 하거나(하루 8-12회 이상) 손이나 기계를 이용해 젖을 짜고 울혈이 있어도 계속 수유

유방염 : 유두 상처 또는 옷이 꽉 끼여 유방에 압박이 가해져 유선이 막혔을때 또는 유방 울혈의 2차감염시 발생. 계속 수유하면서 유방 비우고 경구 항생제 및 진통제 복용시 대부분 호전, 다만 유방 농양시에는 수유 중단 및 절개와 배농, 정맥으로 항생제 투여해야 한다.

모유 짜기와 보관 : 위생적으로 짜기, 전동식 유축기 더 효과적, 용기는 매번 사용후 뜨거운 비눗물로 깨끗하게 세척해 잘 말려야, 유리나 플라스틱 용기, 냉장시 48시간 내에, 냉동보관은 최대 6개월까지 보관 가능, 냉동보관한 모유는 따뜻한 흐르는 물에 담가 빨리 녹이고 24시간내에 먹여야. 전자레인지 해동은 면역성분 파괴 및 불균일하게 데워져 화상 위험 떄문에 금기


5) 모유 수유 금기

  • HIV, HTLV, CMV 감염

  • 활동성 결핵 (치료 2주 넘으면 수유 가능)

  • 수두바이러스 감염

  • 항암치료 / 방사성의약품 투여중일 경우

  • 심한 미숙아 (<2000g), 갈락토스혈증


특수 조제 분유 적응증

  • 대두단백분유: 갈락토스혈증, 젖당못견딤증

  • 저인산분유: 영아테타니,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