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비염

기본 개념

알레르기 비염

  • 제 1형 과민반응

  • 원인 : 계절성 (대부분 꽃가루) / 집먼지진드기, 잎 응애

  1. 봄(3-4월) : 나무 : 자작나무, 소나무, 일본삼나무 등

  2. 여름(6-8월) : 풀 : 잔디, 호미풀, 오리새, 큰조아제비

  3. 가을(8-10월) : 잡초 : 쑥, 돼지풀, 환삼덩굴, 명아주


  • 양상

    • 발작적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 코/눈 가려움 

    • 재발 상기도 감염, 계절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


  • 진단

    • 병력청취가 가장 중요

    • 비경검사(창백, 부어있는 코 점막)

    • 특이 IgE 항체검사(ImmunoCAP)


  • 분류

  • 치료: 회피요법, 약물치료

    • 이불배개 커버 54도 이상 물로 자주 세탁, 습도 50%이하 유지, 봄철에는 실내 창분을 닫고 외출 X, 코 식염수 세척

    • 약물 치료

      • 비강 스테로이드 : 코막힘, 재채기, 소양감, 콧물 모두!

        • 부작용 : 코피 (점막위축)

      • 경구 H1 항히스타민 : 소양감, 재채기, 콧물 (코막힘X)

        • 부작용 : 안구건조 (항콜린성 부작용)

      • 비강 항콜린제 (ex. ipratropium bromide): 콧물 증상에만 효과적

      • 충혈제거제(ex. pseudoephedrine) : 코막힘 제거 효과적 (다만, 단기적으로)

        • 부작용 : 고혈압, 불면증, 두통, 반동성 코막힘

    • 나머지 다 안될 경우 : 알레르겐 특이면역 치료

+ 최근 Trend 약 : 두필루맙(Dupilumab)

  • 인터루킨(IL)-4 수용체 길항제

  • IL-4와 IL-13 경로에 관여 단일클론 항체 치료제

  •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만성 비부비동염 등을 동반한 천식 치료로 급부상

[알레르기 비염 치료 권고안]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