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 성인 예방접종

성인 예방접종

기본 개념

꼭 알아둘 성인 예방접종

2023, 2024, 2025년도에 걸쳐 대한 감염학회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이 개정되었다.

[인플루엔자 백신]

  • 매년 10-11월에 1회 권장 (비강 스프레이형 약독화 생백신은 면역저하자 금기)

  • 특히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18-64세 고형장기 이식환자는 고면역원성 인플루엔자 백신 (고용량 백신 또는 MF59면역증강 백신)을 접종할 수 있다.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 Td는 10년마다 권장. 성인용 TdaP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았다면 한 번은 TdaP접종이 필요하다.

  •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소아기 DTP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기록이 분명치 않은 경우 기초접종 3회(Tdap → Td (or Tdap)→ Td(or Tdap)) 를 시행한 후 매 10년마다 Td를 추가접종


[대상포진]

우리나라에서 2022년 12월부터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RZV) 접종이 시작되었다.
기존 대상포진 생백신은 1회 피하접종을 실시했으나,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의 경우 4주 이상의 접종 간격을 두고 2회 근육접종을 시행한다.

‭✓ 권고되는 접종 연령이 60세에서 50세로 변경되었다.

  • 50세 이상 성인에게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RZV) 접종 권고, 대상포진 생백신(ZLV)을 대신 접종할 수 있음.

  • 만 18세 이상 중증면역저하자에게 RZV 접종을 권고.
    (ZVL은 생백신으로 중증면역저하자에게 접종해서는 안된다)


[폐렴사슬알균]

✓새로운 폐렴사슬알균 백신 (PCV15, PCV20)이 개발되면서 2023 ACIP 및 CDC guideline, 우리나라 가이드라인이 개정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PCV15와 PCV20 이 모두 도입된 상황이다.

✓ 성인에서 PCV15를 PCV13보다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PCV15를 접종할 수 없다면 PCV13을 대신 접종할 수 있다.

**만성질환자: 알코올 중독, 만성 심혈관 질환(심부전, 심근병증 포함), 만성 간질환, 만성 폐질환(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천식 포함), 흡연, 당뇨병

**면역저하환자: 선천성 또는 후천성 무비증, 낫적혈구병 또는 기타 혈색소병증, 만성 신질환,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결핍질환, 전신성 암, HIV 감염, 호지킨병, 면역억제제 투여,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신증후군, 고형장기이식


과거 접종 가이드라인대로 따르고 있던 환자라면?[2]

2025년도 국내 가이드라인과 2023 ACIP 가이드라인에서는 다음을 권고한다. (내용 동일)


*65세 이상 환자에서 과거에 PCV13을 접종한 경우:
PCV13(과거접종) → PCV20 or PPSV23 (1년 이상 간격)

*65세 이상 환자에서 과거 접종 권고안에 따라 PCV13, PPSV23을 접종하였으나 마지막 PPSV23접종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 :

PCV13 (과거접종) → PPSV23 (과거 접종) → PPSV23 or PCV20 (5년 간격)

*65세 이상 환자에서 과거 접종 권고안에 따라 PCV13,PPSV23을 사용하여 접종을 완료한 경우 :
shared-decision-making,
접종하기로 결정한다면, 마지막 접종으로부터 5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PCV20 1회 접종

19-64세 사이 인공와우삽입/뇌척수액 누수 환자에게서 PCV13 접종만 시행한 경우 :

PCV13 (과거접종) → PCV20 (1년 간격)

또는 PCV13 (과거접종) → PPSV23 (8주 간격)

19-64세 사이 면역저하 환자에서 PCV 13접종만 시행한 경우 :
PCV13 (과거접종) → PCV20 (1년 간격)

PCV13 (과거접종) → PPSV23 (8주 간격) → PCV20 or PPSV23 (5년 간격)

과거 폐렴구균 접종 가이드라인



[인유두종 바이러스]

  • 11∼12세 여아 (2회접종)

  • 13∼26세 여성: 이전에 백신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백신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경우 접종

  • 27∼45세 여성: 전문가와 상의하여 이득이 있는 경우 접종

  • 9∼26세 남성 : 접종 가능


[MMR, 수두]

위험군 또는 면역의 증거가 없는 49세 이하 성인에서 접종


[A형 간염]

40세 이전엔 항체 검사 없이 접종,
40세 이후엔 항체 검사 결과에서 음성일 경우 접종 권고


[B형 간염]

백신 미접종 성인, B형간염 고위험군 중 미접종자/항체가가 낮은 경우 접종 권고

  • 건강한 소아 / 성인은 접종 완료 후 면역 획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일률적인 항체 검사를 추천하지 않는다.

  • B형간염 고위험군 (만성질환, 면역저하자, 의료종사자, B형간염 보균자 가족,성접촉자, 혈액 투석 등)은 마지막 접종 후 1-3개월 경 반드시 항체검사를 시행한다.

※ 백신 무반응자 : 3회 기초접종 후 시행한 항체검사에서 표면항체가 음성 (<10mIU/mL)인 경우

  • 고위험군중 백신 무반응자인 경우 재접종 :
    1회 (4차) 추가 접종 후 1개월 째 항체검사를 하여 항체가 생겼으면 접종을 중단하고,
    항체가가 10mIU/mL 미만이면 재접종 스케줄로 5,6차를 모두 실시한 후 마지막 접종 1- 2개월 후 항체검사 시행

※ 총 6회의 접종 후에도 적절한 항체가 형성되지 않으면 완전 무반응자로 간주하고 더 이상의 접종을 권장하지 않음. 이후 노출 시 HBIG를 1개월 간격으로 2회 주사

※ 고위험군이 아닌 경우, 과거 3회 접종 완료 후 표면 항체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된 적이 있고 우연히 시행한 최근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되었다면 재접종은 필요하지 않음. [3]


[성인예방접종 간단 정리]

  • 인플루엔자는 모두 맞는다. 면역억제제 복용하는 고형장기이식환자는 고면역원성 백신 접종.

  • 폐렴사슬알균

    • 65세 이상 모두 맞는다 (PCV20 단독 또는 PCV15 → PPSV23)

    • 65세 미만 기저질환자만 맞는다. (PCV20 단독 또는 PCV15 → PPSV23 → 필요하면 재접종)

  • 대상포진 :

    • 50세 이상 :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RZV) 또는 대상 포진 생백신 (ZLV) 접종

    • 18세 이상 중증면역저하자: RZV 접종 (ZVL은 생백신으로 금기)

  • TdaP : 10년마다 재접종, 성인용 TdaP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았다면 한 번은 TdaP 접종이 필요

  • 인유두종바이러스

    • 여성 : 11-12세, 13-26세, 27-45세까지로 확대

    • 남성 : 9-26세

  • MMR, 수두 : 만 49세까지

  • A형 간염 : 만 40세 미만은 항체검사 없이 접종, 만 40세 이상은 항체 음성일 경우 접종

  • B형 간염 : 미접종 성인 및 면역력의 증거가 없는 고위험군


**RSV 백신
RSV 백신이 FDA 승인을 받았고, 현재 국내에서 승인 대기 중이다. (Arexvy, mResvia, Abrysvo)

  • 대상

    • 75 세 이상의 모든 성인

    • 50-74세 사이의 중증 RSV 고위험군 (만성 심/폐/간/혈액질환, ESRD, 합병증이 있거나 인슐린/SGLT2 치교가 필요한 당뇨병, 면역저하자, 중증 비만, 기도 청소가 어려운 신경/근육 질환)

    • 영유아 및 임산부 관련 내용은 소아과 참조



[1] 대한감염학회 2023, 2024, 2025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개정안

[2] Pneumococcal Vaccine for Adults Aged ≥19 Year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United States, 2023. MMWR Recomm Rep 2023;72(No. RR-3):1–39. DOI: http://dx.doi.org/10.15585/mmwr.rr7203a1

[3]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The Pink book : Course Textbook - 14th Edition, 2021

해외여행자 권장 예방접종

(자세하게 나온 편이 아니므로 간단하게 정리하자)

  • 황열: 아프리카, 중남미 도착 10일전

  • 수막알균: 사우디아라비아 성지순례 도착 10일전

  • 장티푸스: 개발도상군, ~스탄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