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종
진단
질병의 과거력 (심장/간/신장질환 등 확인)
부종의 지속성/주기성 여부 (주기적인 경우 생리전 부종)
폐부종 동반 여부 (심부전, 급성 사구체신염의 신장성 Na 저류 등)
중심정맥압 측정시 감별진단에 도움됨
임상증상에 따른 부종의 감별진단
1) 심부전 : 우심부전-말초부종, 좌심부전-폐부종
2) 간경변 : 심부전과 달리 중심정맥압은 정상/감소
3) 신장성 소디움 저류 : 수분저류로 인해 폐부종과 말초부종이 동시에 존재하고 중심정맥압이 증가
4) 신증후군 :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 등
5) 특발성 부종
원인 모름, 말초부종O, 폐부종X, 중심정맥압은 정상/감소
그외 특이사항 없음
과도한 다이어트 또는 장기간 이뇨제 복용한 환자 많음
6) 정맥부전 : 말초부종의 흔한 원인
하지에 국한, 대개 일측성, 중심정맥압은 정상, 이뇨에 거의 반응X
7) 비함요부종(Non-pitting edema)
림프부종, 점액수종(myxedema) 고려, 이뇨제 반응X
8) 약물유발성 부종 (진통제, 피임약, 항고혈압제, 스테로이드)
9) 주기성 부종
월경전 부종이 대표적 (월경 전에 손, 얼굴, 몸이 붓고 체중증가하며 월경시작시 부종 소실-에스트로젠에 의한 수분 및 염분 저류 때문)
배란기에만 몸이 붓는 배란기 부종도 존재
[치료]
부종 치료의 일반 원칙
원인질환 치료, 염분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이뇨제 투여 : 폐부종 동반, 늑막삼출, 심한 복수
심부전, 간경변, 특발성 부종 : 유효혈액량 부족에 대한 신장의 보상성 작용으로 수분과 염분의 저류가 발생해 부종 유발한 경우가 많으니 이때 이뇨제 사용시 유효혈액량 더 감소해 심박출량 더욱 감소할 수 있으니 신중해야 (심한 신부전 일부 제외하곤 대개 이뇨제 사용후 경도의 심박출량 감소는 괜찮음)
조직관류량 측정 필요 : 혈액요소질소(BUN), Cr 측정
수분제거 속도:
심부전, 신증후군, 일차성 소디움 저류 : 하루 2-3리터 수분제거 가능
복수만 있는 간경변 : 500-750ml이상 제거 피할것
복수 및 말초부종 모두 있는 간경변 : 그 이상 제거 가능
특발성 부종 치료의 일반 원칙
이미 이뇨제 복용중: 저염식 + 3-4주간 이뇨제 중단
이뇨제사용X, 중단실패시: 저염식, 저탄수화물식이 (하루 90g이하)
ACEi, ARB도 사용 가능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