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 산-염기 대사장애

대사성 산증

기본 개념

대사성 산증

대사성 산증 판단 후 감별 순서

1) serum AG 판단 = serum AG = [Na] - [Cl] - [HCO3]

  • AG 증가: Latic acidosis, DKA, intoxication (Mannitol, Ethanol, Ehylene glycol 등), Acute and Chronic kidney failure

    —> High AG metabolic acidosis

  • AG 정상: Alkali loss(Diarrhea,RTA type1 등), RTA type 2

    —> Normal AG metabolic acidosis

** 참고) AG 감소: 고칼슘혈증, Multiple myeloma, 저알부민혈증

따라서 저알부민혈증이면 Corrected AG = Measured AG + 2.5 (4-serum albumin)


2) High AG metabolic acidosis의 경우

2-1) △AG/△HCO3 – “AG 증가시에 구함”

  • >2 : high AG MAc + MAlk

  • 1~2 : high AG MAc

  • <1 : high AG MAc + Normal AG MAc

2-2) 혈중 Osm gap 판단 = 실제측정 Osm – 계산 Osm

  • 계산 Osm= 2[Na] + Glucose/18 + BUN/2.8

  • 차이 10 이상 = Intoxication 의미

  • 차이 10 미만 = 정상


3) Noraml metabolic acidosis의 경우

3-1) urine AG 판단 = urine AG = [Na] + [K] - [Cl]

  • Urinary AG < 0 (=알칼리 소실) : 설사

  • Urinary AG > 0 (=산 배설 장애) : RTA


치료

  • 기저질환의 교정

  • Alkali(NaHCO3) 공급

    • 단, Endogenous origin의 high anion gap acidosis (DKA, Lactic acidosis) 에서는 산증이 심하지 않은 이상 투여 X


[1] Harrsion 21e, pg. 361-365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