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 산-염기 대사장애

산-염기 상태 판단

기본 개념

산-염기 상태 판단

1) 정상 참고치들(왼쪽) 및 산-염기 보상관계수치 (오른쪽)

  • 미리 알고 들어가면 편하니 외워두자

  • 산염기 보상관계식 약자설명

    • Metabolic Acidosis = MAc

    • Metabolic Alkalosi = Malk

    • Respiratory Acidosis = RAc

    • Respiratory Alkalosis = RAlk

    • (숫자 암기 팁) 5 / 4 – 3 / 4 – 1 – 4 – 2 – 4

  • 저산소증 중증도 판단

    • PaO2 : severe < 40

    • 40 ≤ moderate < 60

    • 60 ≤ mild < 80

  • 환기 상태 판단

    • PaCO2 > 45 : 환기가 적다.

    • PaCO2 < 35 : 환기가 많다.


(2) 산-염기 상태 판단방식

1) pH로 산 또는 알칼리 결정

  • 7.45 이상 = 알칼리증

  • 7.35 이하 = 산증

2) PaCO2, HCO3로 호흡성/대사성 생리학적 판단

  • PaCO2=호흡성 / HCO3=대사성 라고 생각하고,

  • HCO3는 염기이다. PaCO2는 산성이다.

    • HCO3 증가=알칼리 / 감소=산

    • PaCO2 증가=산성 / 감소=알칼리

  • 예시들


3) 보상정도는 비율 외우고 생리학적 판단 후 계산

예시1)

맞는건 HCO3, HCO3는 대사성이라 생각

→ 대사성 산증이라고 판단

  • HCO3 = 24 – 12 = 12 감소하는동안

  • PaCO2는 염기가 사용되었으니 CO2로 없애줘야

  • HCO3 1당 PaCO2 1.25씩 감소해야

  • 보상 예측시 변화될 PaCO2= 1.25*12= 15만큼 감소

  • 보상됬다면 PaCO2 = 40 – 15 = 25 < 30 (현재)

= 보상이 덜 되었다. 호흡성 산증이 같이 존재함을 의미!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