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 수분 및 전해질 대사

고칼륨혈증

기본 개념

고칼륨혈증 (K > 5.5)

  • 원인: 신부전, 저알도스테론혈증, 세포 외 칼륨 이동, 약물(NSAIDs, ACEi, ARB…) 등

  • EKG: peaked T wave(=T wave 높이가 2큰칸 이상), PR prolongation, lose of P wave, QRS widening, sine wave pattern

  • 치료

    • 응급치료 (K≥6.5 or ECG 변화 시) : IV 10% calcium gluconate

      • 고칼륨혈증이 심장에 미치는 효과(부정맥 등)를 막기 위함!

    • 칼륨의 세포내 이동 (rapid acting)

      • Insulin + Glucose

      • Albuterol (B-agonist): 잘 사용하지 않음

    • 칼륨을 몸에서 제거 (위 방법들보다는 느림)

      • Diuretics (Furosemide, Thiazide)

      • Kalimate (양이온교환수지)

      • 투석: 보존적 요법으로 조절되지 않을 때


[1] Harrsion 21e, pg. 352-355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