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뇨관의 기능
Proximal tubule
기능: 대부분의 물과 NaCl, 포도당, 아미노산과 같은 필수 영양소, 중탄산염이나 인산 이온 등을 흡수
주요 세포막 수송체
Na+-H+ exchanger
Na+-HCO3- cotransporter
Symphoters: phosphate, glucose 등을 Na과 함꼐 수송
수송체 이상
Fanconi’s syndrome : Symphoter 이상
RTA type 2: Na+-HCO3- cotransporter 이상 (loss of function)
Loop of Henle (Thick ascending limb)
기능: NaCl 재흡수, Ca2+,Mg2+재흡수
주요 세포막 수송체
Na+-K+ -2Cl- cotransporter (NKCC): Loop diuretics 작용 부위
ROMK (Renal outer medullary K+ channel)
Paracellular pathway: NKCC와 ROMK의 작용으로 tubule의 net charge가 양전하를 띠게 되니 양이온인 Ca2+,Mg2+ 가 이동
수송체 이상
Batter syndrome: Na+-K+ -2Cl- cotransporter (NKCC) 이상 (loss of function)
Distal tubule
기능: NaCl 재흡수, Ca2+재흡수
주요 세포막 수송체
Na+-Cl- cotransporter (NCTT): Thiazide 작용 부위
ECaC (Epithelial Ca2+ channel): Na+의 재흡수와 경쟁적으로 작용(Na+이 많이 재흡수 될수록 Ca2+ 재흡수가 적어짐)
수송체 이상
Gitelman syndrome: Na+-Cl- cotransporter (NCTT) 이상 (loss of function)
Collecting duct
기능: Aldosterone과 Vasopressin이 작용하여 수분과 Na, 그리고 산염기의 재흡수와 분비를 조절
주요 세포막 수송체
ENaC (Epithelial Na2+ channel): amiloride 작용 부위
ROMK (Renal outer medullary K+ channel)
H+/K+ exchanger
H+-ATPase (proton pump)
수송체 이상
Liddle syndrome: ENaC (Epithelial Na+ channel) 이상 (gain of function)
RTA type 1: Principal cell에서 H+분비의 이상
RTA type 4: 대부분 hypoaldosteronism으로 인해 발생
[1] Harrison 21e, 2290-2294
세뇨관 기능장애
Batter syndrome & Gitelman syndrome
저칼륨혈증 & 대사성 알칼리증, 정상 or 저혈압, 이차성 고알도스테론 혈증
Liddle syndrome
저칼륨혈증 & 대사성 알칼리증, 고혈압, 저알도스테론혈증
RTA type 1
Principal cell에서 H+분비의 이상
저칼륨혈증 & 대사성 산증
요 pH>5.5 (산성화를 못 시키기 때문!)
Stone, Nephrocalcinosis 발생 (소변이 알칼리성을 띠어 Ca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
RTA type 2
Na+-HCO3- cotransporter 이상, HCO3-의 재흡수 저하
저칼륨혈증 & 대사성 산증
RTA 1에 비해 산증이 덜함. (H+분비는 정상)
RTA type 4
대부분 hypoaldosteronism으로 인해 발생. 당뇨병 콩팥병증 환자에서 흔함.
고칼륨혈증 & 대사성 산증
이뇨제의 작용
** Acetazolamide(Carbonic anhydrase inhibitor): 이뇨 작용은 약하나, 소변을 알칼리화 시키는데 유용
저칼륨혈증 유발 : Furosemide, Thiazide
고칼륨혈증 유발 : ACEi, ARB, Spironolactone, NSAIDs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