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아토피피부염
소아 아토피피부염
1.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필수 증상 (Hallmark): 소양증 (Pruritus)
'Itch that rashes' (가려워서 긁어서 생기는 발진)
특히 야간에 심화 → 수면 장애 초래
연령별 특징적 분포 및 형태 (Age-Specific Distribution & Morphology):
영아기 (Infantile, 2개월 ~ 2세):
병변: 급성 습진. 구진(papules), 소수포(vesicles), 삼출물(oozing), 가피(crusting)
호발 부위: 뺨, 이마, 두피 (얼굴) 및 사지의 폄쪽 (extensor surfaces)
특징: 기저귀 부위는 대개 침범하지 않음 (Spared)
소아기 (Childhood, 2세 ~ 사춘기):
병변: 아급성 ~ 만성 습진. 건조하고 인설(scale)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 태선화 (Lichenification)
호발 부위: 접힘부위 (Flexural areas)
주관절 와 (Antecubital fossa) - 팔오금
슬관절 와 (Popliteal fossa) - 무릎오금
목, 손목, 발목
기타 동반 소견 (Associated Findings):
피부 건조증 (Xerosis): 가장 흔한 소견. 피부 장벽 기능 저하의 증거.
Dennie-Morgan fold: 하안검(아래 눈꺼풀)의 주름
Hyperlinear palms: 과도한 손바닥 주름
Pityriasis alba (백색 비강진): 경계가 불명확한 저색소 반점 (주로 얼굴, 팔)
"Atopic salute": 알레르기 비염 동반 시 코를 비비는 행동
2.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진단: 임상적 (Primarily Clinical)
병력 청취 (가려움증, 만성/재발성 경과, 아토피 가족력) 및 신체 진찰 (연령별 특징적 병변)이 핵심.
진단 기준: 3가지 주진단 기준 소견 중 적어도 2개 이상, 14가지 보조진단기준 소견 중 4가지 이상
3. 치료 (Treatment)
치료 목표: 증상 조절 (염증/소양증 완화), 악화(flare) 예방, 피부 장벽 기능 회복
1. 기본 관리 (Basic Therapies) - 필수!
보습 (Moisturization)
악화 요인 회피 (Trigger Avoidance)
자극원 (Irritants): 비누, 세제, 거친 재질의 옷 (양모), 땀
알레르겐 (Allergens): 병력 및 검사상 확인된 원인 (예: 집먼지 진드기, 특정 음식)
스트레스, 급격한 온도/습도 변화
목욕 (Bathing)
미지근한 물 (Lukewarm water)로 10-15분 이내.
약산성(pH-neutral)의 순한 세정제 사용
2.국소 치료 (Topical Therapies)
경증 (Mild AD):
국소 치료제 (Topical therapies):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타크롤리무스
급성 악화 조절 및 유지/선제적 치료 (proactive treatment).
중등증-중증 (Moderate-to-Severe AD):
국소 치료로 조절되지 않을 시 전신 치료(systemic treatment) 고려.
3.전신 치료 (Systemic Therapies)
치료의 흐름은 전신 면역억제제 보다는 생물학적 제제를 중등증 AD에서부터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중이다.
1.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Systemic Corticosteroids)
권고: 급성 악화(acute flare) 시 단기간 선택적 사용 고려 (권고 등급 B, 근거 수준 2b).
장점: 급성 발작 완화에 매우 효과적.
단점:
대부분 중단 시 즉시 재발 (Rebound phenomenon).
최대한 사용을 회피하거나 short-term으로만 사용 (Avoid if possible).
2. 전신 면역 억제제 (Conventional Systemic Immunosuppressants)
권고: 선택적 사용 고려 (권고 등급 B, 근거 수준 2b).
Cyclosporine
Methotrexate (MTX)
3. 생물학적 제제 (Biologics)
권고: 사용 권고 (권고 등급 A, 근거 수준 1b).
Dupilumab (두필루맙): 국내 유일 승인 (중등증-중증 소아)
4. JAK 억제제 (JAK Inhibitors)
Upadacitinib (유파다시티닙) & Abrocitinib (아브로시티닙):
국내 승인: 12세 이상, 기존 치료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중등증-중증 AD.
기존 면역억제제 또는 생물학적 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청소년 환자에서 고려.
4. 합병증 (Complications)
이차 감염 (Secondary Infections): 발생 가능성 높음.
주요 원인균:
세균: 황색포도알균 (Staphylococcus aureus).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HSV).
전염성 물렁종 (Molluscum contagiosum).
진균: 말라세지아 (Malassezia).
중증 합병증: 포진상 습진 (Eczema Herpeticum)
정의: 파종성(disseminated)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임상: 광범위한 물집 및 central punched out appearance
치료: 임상적 진단 시 즉시 전신 항바이러스제 (Acyclovir 등) 투여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