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슨 22판 & 2025 대한간학회 진료지침의 주요 변화
질병 명칭의 전면 개정 (가장 중요한 변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 대사 기능 장애 연관 지방간 질환(MASLD)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 대사 기능 장애 연관 지방간염(MASH)
진단 및 위험도 계층화 알고리즘 도입
치료약제 업데이트: Resmetirom (최초 FDA 승인 MASH 치료제), GLP-1 agonist
정의 및 관련 용어
MASLD: 간의 지방증(steatosis)이 있으면서 (영상검사/조직검사에서 확인), 아래 5가지 심혈관-대사 위험인자 중 1개 이상을 만족하고, 유의한 음주력이 없는 경우
위험인자: 비만/복부비만, 2형 당뇨병/당뇨전단계, 고혈압 (130/85), 고중성지방혈증 (≥ 150 mg/d), 낮은 HDL (남성 ≤ 40 mg/dL, 여성 ≤ 50 mg/dL)
MASH: MASLD 환자에서 간세포 손상(ballooning) 및 염증이 동반된 상태. 간섬유화 및 간경변으로 진행 가능
'At-risk' MASH: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섬유화(F2 이상)를 동반한 MASH. 약물 치료의 주 대상
MetALD: MASLD 진단 기준을 만족하면서 중등도 음주를 하는 경우
진단 및 위험도 계층화
1차 선별: FIB-4점수 계산
FIB-4 < 1.3: 저위험군. 진행성 섬유증 가능성 매우 낮음. 1-3년 후 재평가
FIB-4 ≥ 1.3: 중등도/고위험군. 2차 비침습 검사 필요
2차 선별: 간섬유화 스캔 (VCTE) 및 ELF panel 검사 (혈액 기반 섬유화 마커)
정밀 진단: 2차 검사 결과가 불명확하거나 임상적으로 간경변이 강하게 의심될 때
→ MR elastography 또는 간생검 고려
영상소견
치료
모든 환자: 생활습관 교정 (체중감량, 식이, 운동)
약물치료 (at risk MASH, F2-F3환자 대상)
레스메티롬 (Resmetirom): THR-β 작용제, MASH 해소 및 섬유화 개선 효과
동반질환 치료 약제
GLP-1 수용체 작용제 (GLP-1 RAs): 세마글루타이드, 티르제파타이드. 체중 감량 효과가 크고 MASH 해소에 효과적. T2DM 또는 비만 환자에게 우선 고려
SGLT-2 억제제: 제2형 당뇨병, 심부전, 만성신부전이 동반된 환자에서 해당 질환 개선을 위해 사용
[1] Harrison 22e, pg.2700-2707
[2] 2025 대한간학회 대사이상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