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신장/요로 질환

방광요관역류

기본 개념

방광요관역류 (VUR)

1.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 핵심: 발열성 요로감염 (Febrile UTI)이 가장 흔한 첫 임상 양상

  • 신생아 및 영아 (Infants): 비특이적 증상

    • 불명열 (Fever of unknown origin, FUO)

    • 비특이적 증상: 보챔 (Irritability), 기면 (Lethargy), 수유 곤란 (Poor feeding)

  • 연장아 (Older Children):

    • 전형적인 방광염 증상: 배뇨통 (Dysuria), 빈뇨 (Frequency), 긴박뇨 (Urgency), 야뇨증 (Enuresis)

    • 급성 신우신염 (APN) 동반 시: 발열, 오한, 옆구리/복부 통증 (Flank/Abdominal pain)


2.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 진단 목표:

    1. 역류의 존재 및 등급 (Grading) 확인

    2. 신손상 (Renal scarring) 유무 평가

    3. 해부학적 이상 및 BBD 동반 여부 평가

  • 주요 검사 (Work-up):

    • 신장/방광 초음파 (Renal and Bladder Ultrasound, RUS):

      • 첫 febrile UTI 시 모든 소아에서 필수.

      • 평가 항목: 신장 크기, 수신증(hydronephrosis), 신피질 두께, 신반흔 의심 소견, 요관 확장, 방광벽 비후 등.

    • 배뇨중 방광요도조영술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 VUR 진단의 Gold Standard.

      • 목적: 역류 확진, 국제 분류 1~5등급 (Grade I-V) 결정.

      • Grade I (요관만), II (신우까지, 확장X), III (경도 확장), IV (중등도 확장/굴곡), V (심한 확장/굴곡)

    • DMSA Scan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 신피질 반흔 (Renal cortical scarring) 평가에 가장 민감한 검사.

      • 급성기 (APN) vs. 만성기 (Scar) 감별: 급성기 염증 확인 → 6개월 후 재검사하여 반흔 여부 확진.

  • 기타 검사:

    • 요검사 (UA) / 요배양 (Urine culture): UTI 확진 (농뇨, 세균뇨)

    • 혈액 검사 (CBC, CRP, BUN/Cr): 염증 수치, 신기능 평가


3. 치료 (Treatment)

  • 치료 목표:

    1. 재발성 발열성 UTI 예방

    2. 새로운 신반흔 (New renal scarring) 형성 방지

    3. 신기능 보존 및 정상 신성장 유도

  • 자연 경과: 저등급(Grade I-III)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 소실 (Spontaneous resolution) 확률 높음.

  • 적극적 감시 (Active surveillance): 저등급 VUR, UTI 병력 없는 경우.

  • 외과적/시술적 치료 (Surgical/Interventional Management)

    • 적응증 (Indications):

      • CAP에도 불구하고 돌파성 감염 (Breakthrough febrile UTI) 발생

      • 고등급 VUR (Grade IV, V), 특히 양측성 또는 사춘기 이후 지속

      • 신기능 저하, 새로운 신반흔 발생 또는 악화

      • 보호자/환자의 선호 (장기간 CAP 순응도 문제)

    • 치료 방법: 내시경적 주입술 (Endoscopic injection therapy), 요관 방광 신문합술 (Ureteral reimplantation)


4. 합병증 (Complications)

  • 핵심 기전: VUR → 세균의 신장 상행 → 급성 신우신염 (APN) → 신반흔 (Renal scarring)

  • 급성 합병증:

    • 재발성 발열성 UTI / 급성 신우신염

  • 만성 합병증 (Reflux Nephropathy, 역류성 신병증):

    • 신반흔 (Renal scarring): 신실질의 비가역적 손상 (6개월 뒤 DMSA로 확인).

    • 고혈압 (Hypertension): 신반흔으로 인한 Renin-Angiotensin System (RAAS) 활성화.

    • 신기능 저하 (Renal insufficiency)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