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혈 빈혈
용혈 빈혈 개요
정의: 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 (120일)을 살지 못하고 빨리 파괴되어 순환 혈액에서 제거되는 상태로, 골수의 생산능력보다 파괴가 더 많으면 빈혈 발생
특징
Reticulocyte 증가 (RPI >2.5)
간접 빌리루빈 증가, LDH 증가, haptoglobin 감소
소변, 대변의 urobilinogen 증가
담석 (black pigment stone) 형성
골수 외 조혈 (Extramedullary hematopoiesis)
만성 용혈 빈혈 환아에서 골수의 적혈구계 증식이 과다하면서 조혈기능이 medulla에서 cortical bone까지 확대되어 나타남
두개골 방사선 (hair-on end sign), 장골 골절
분류
선천 용혈 빈혈
세포막의 이상: 유전 구상적혈구증, 유전 타원형 적혈구증,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혈색소의 이상: 낫적혈구질환, 탈라세미아, 효소이상 (PK deficiency, G6PD deficiency)
후천성 용혈 빈혈
자가면역 용혈빈혈 (온항체, 냉항체)
약물 유도 면역 용혈
물리적 용혈: march hemoglobinuria, MAHA, 기계 판막 등
유전 구상 적혈구증 (Hereditary spherocytosis)
정의 및 특징
적혈구의 세포막 골격 구조 (spectrin, ankyrin, band 3, 4.1 protein, glycoporin 등)의 이상으로 초래되는 유전 용혈 빈혈 중 가장 흔함
상염색체 우성 유전
임상양상
신생아기 빈혈 및 고빌리루빈 혈증
심한 용혈 시 창백, 황달, 피로감, 무기력, 비장비대, 담석증
용혈이 적으면 성인까지 무증상
검사실 소견
혈액검사 : 용혈성 빈혈 (hb 감소, reticulocyte 증가, LDH 증가, indirect hyperbilirubinemia, haptoglobin감소), MCV 정상/약간 감소, MCHC wmdrk
PBS: central pallor 가 소실된 작고 진한 구상적혈구, polychromatophilic reticulocyte 증가
주요 감별진단: 구상 적혈구가 증가한 경우 면역 용혈 빈혈과 감별 (coomb’s test)
진단: 삼투압 취약성 검사, EMA (Eosin-5-maleimide) binding test
검사 방법: 농도가 다른 여러 시험관에 혈액을 넣고, 각 농도에서 적혈구가 얼마나 용혈되는지를 측정하여 삼투압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
검사 결과: 구형 적혈구는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일반 적혈구가 용혈되는 삼투압 농도에 비해 높은 삼투압에서 용혈이 시작됨
치료
빈혈 교정, 엽산 보충(혈색소와 망상구가 정상화될때까지)
심한 빈혈, 잦은 골수저형성/골수 무형성, 성장장애, 심비대: 6세 이후 비장적출술 권고
최소 수술 14일 전까지 Hib, 수막구균, 폐렴구균 백신 접종 완료, 수술 이후 5세까지/수술 후 2년까지 예방적 항생제 투여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원인: 골수모세포막의 후천적 이상에 기인 (CD55, CD59, C8결합 단백의 부족)
임상양상
소아에서는 드묾 (골수부전, 빈혈, 혈관내 용혈의 소견)
성인: 특징적으로 야간이나 아침에 발생하는 혈색소뇨증, 복통, 두통, 혈구감소증, 광범위 정맥 혈전증
진단: flow cytometry - CD55, CD59, FLAER 측정
1. 과립구(Granulocyte) 선별 (위쪽 그래프)
2. PNH 세포 확인 (아래쪽 그래프)": 선별된 과립구에서 PNH 진단에 핵심적인 표지자들의 발현 여부를 확인
X축: CD55 & CD59 (GPI 결합 단백질)
Y축: FLAER (GPI 닻 자체에 결합하는 시약)
정상 (Normal) 결과
우측 상단 (99.88%): 거의 모든 과립구가 FLAER, CD55, CD59 모두에 양성 반응
PNH 환자 결과: 과립구가 두 집단으로 명확히 나뉨
우측 상단 (12.79%): 정상적으로 모든 표지자를 발현하는 정상 과립구(Normal PMNs) 집단
좌측 하단 (85.88%): FLAER, CD55, CD59 모두에 음성 반응을 보이는 PNH clone
치료: eculizumab/ravulizumab, 엽산 보충
급성 용혈 시 prednisone 단기요법 도움
혈전증 동반시 항응고요법
낫적혈구 질환 (sickle cell disease)
원인 및 특징
B-globin 유전자 이상으로 낫 모양의 적혈구를 형성하는 질환
아프리카 적도부근, 지중해연안, 인도, 미국 흑인들에서 발병
상염색체 열성 유전
임상양상
영아의 면역기능저하, 비장기능 저하, 세균감염에 취약
낫적혈구 형성 소질 (HbAS, heterozygous): 평소에는 sickling이 없다가 심한 운동후, 고지대 환경에서 적혈구 모양이 변화, 말라리아 감염에 저항성 보임
낫적혈구 빈혈 (HbSS, homozygous): 중증 만성 용혈 빈혈, sickle cell crisis (적혈구가 혈관을 폐쇄하며 허혈 병변을 일으킴)
hand-foot syndrome, 사지의 급성 통증, 골수/뼈 경색, 비장 경색, 폐경색 등
sequestration crisis: 6개월~2세 사이 환아에게 나타나는 치명적인 합병증. 간과 비장에 갑자기 많은 양의 혈액이 괴어 circulatory collapse가 급속히 발생
간기능저하, 황달, 담석, 무혈관 괴사, 중증 감염, 신경학적 합병증
진단: PBS, 혈색소 전기 영동법
치료
대증치료: 진통제, 항생제, 수혈 (혈색소는 10g/dL이상으로 올리지 않음)
hydroxyurea: 생후 9개월부터 사용 (+L-glutamine은 5세이상에서 병용)
조혈모세포이식: 완치 치료법
탈라세미아
정의 및 특징
혈색소 polypeptide chain (α,β, γ, δ) 생성의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유전 저색소 빈혈
지중해, 아프리카, 중동, 인도, 동남아 인종에서 호발
Homozygous β thalassemia (thalassemia major)
임상양상
6개월 이후 영아기의 중증 용혈 빈혈 발생
수질 및 골수외 조혈 증가: hair on end sign, frontal bossing
간비대, 녹황색 얼굴 (철분침착 및 황달), 성장지연, 당뇨병, 심질환
진단: PBS, 전기영동

치료: 반복 수혈, 철킬레이트화 제제 (deferoxamine), 예방적 비장 절제, 조혈모세포 이식 등
적혈구 효소결핍 질환
정의: 적혈구의 당 대사 효소의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용혈성 질환
분류 및 특징
pyruvate kinase deficiency
빈혈 황달, 비장비대, 망상적혈구 증가, 자가용혈검사 증가 (당 첨가시 용혈이 감소하지 않음)
진단: PK 효소 활성도 측정
치료: 신생아 교환수혈, 적혈구 수혈 (± 철 킬레이트화), 심한 경우 5-6세 이후 비장절제
G6PD deficiency
급성 중증: 빈혈, 혈색소혈증, 혈색소뇨증, PBS Heinz body 발견
감염, 약제 (아스피린, 설파제, 항말라리아제)에 의해 급성 악화 가능
진단: 적혈 구 내 G6PD활성도 측정
치료: 보존요법 (용혈 시 수혈), 급성 악화 예방이 가장 중요
자가면역 용혈빈혈 (AIHA)
정의: 적혈구 외의 원인으로 적혈구의 조기파괴가 발생하는 질환 (적혈구 내부 항원에 대한 항체 형성)
특징: Coomb’s 검사 양성
[온항체 자가면역 용혈빈혈]
원인
대부분 특발형
2차 발생도 가능 : 림프종, SLE, 난소종양, UC, 면역결핍질환, 약제 (cephalosporin, penicillin, quinidine)
임상양상
급성형: 2-12세 소아 발병, 호흡기 감염 선행, 식은땀, 창백 황달, 발열, 혈색소뇨증, 심한 비장비대
만성형: 영아, 12세 이상의 소아에서 발병, 수개월-수년동안 용혈 지속, 전신질환과 연관
Evans syndrome: ITP가 동반되는 경우로 예후가 불량
검사 소견
Coomb’s test 강양성, 항체는 35-40도에서 작용, IgG
치료
원인제거, 빈혈 교정
용혈이 심하고 심각한 빈혈이나 증상 발생시: 프레드니손 투여
스테로이드 효과가 없거나 고용량이 필요하면 IVIG 투여 가능
반응이 없는 만성형: rituximab
[냉항체 (cold agglutinin)]
cold agglutinin disease
항체는 낮은 온도에서 작용, IgM, 보체 필요. 바이러스나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시 항체 증가
임상양상: 추위에 노출되면 혈관 내 용혈 일으킴 → 혈색소혈증, 혈색소뇨증
치료: 추위 노출 회피, 원인 질환 치료, 필요시 수혈, 용혈이 심하면 면역억제제 / plasmapheresis 필요
Paroxysmal cold hemoglobinuria
Donath-landsteiner 용혈소에 의해 일어나는 용혈 빈혈, P 항원과 잘 반응
매독, 바이러스 감염 관련성
대부분 자연회복, 추위 노출 회피, 필요시 수혈
[1] 홍창의 12e, pg. 912-920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