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선천 심질환 및 후천 심질환
대동맥활이상, 혈관고리
대동맥 활 이상: 좌우 대칭의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대동맥 활의 기형
혈관고리: 대동맥활 이상에 의해 기관이나 식도가 혈관 가운데 끼게 되어 호흡장애, 연하장애를 일으키는 질환
임상증상: 기관이나 식도 압박에 의한 증상
영아기에 호흡기 증상: 흡기 시 천명(inspiratory stridor), 컹컹거리는 기침,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 수유 곤란, 연하 곤란, 목 과신전시 악화
진단: 바륨 식도 촬영, CT/MRI
치료: 증상이 있는 경우 수술적 교정
관상동맥의 이상 기시 (Anomalous origin of coronary arteries)
종류
좌관상동맥의 이상 기시 (ALCAPA)
우관상동맥의 이상기시 (ARCAPA)
관상동맥의 반대굴 기시 (ACAOS)
좌관상동맥의 이상 기시
임상 양상
생후 수개월 내 심부전 증상, 중등도 이상의 심비대, 말발굽음, MR 등
소아기의 심근경색/허혈 심근병증
검사 및 진단
EKG: 좌심실의 심근경색, lateral lead의 pathologic Q wave, T inversion, ST elevation
심초음파, 관상동맥 CT

대동맥조영술: 확진
a. conventional RCA angiography 시행, 하부 collateral vessel이 발달
b. 수분 후 조영제가 LCA로 drain 되며 MPA 가 조영되는 소견
가와사키병
정의 및 특징
중간크기의 혈관(특히 관상동맥)을 주로 침범하는 전신 혈관염
일본 및 우리나라 발생 빈도 높음
증상

급성기 증상: 항생제에 반응없는 고열(1-2주 이상 지속), 양측 비삼출 결막염, 구강 인두 점막 홍반, 딸기혀, 입술 균열, 손발의 부종/홍조, 다양한 형태의 발진, 비화농 경부 림프절염
급성기 → 아급성기 (급성기 증상 소실, 손발가락 끝의 낙설, 혈소판 증가) → 회복기 (모든 증상 회복, ESR정상화)
관상동맥류: 발병 1-2주에 발생, 4-8주에 최대. 거대 관상동맥류 (지름 >8mm)는 파열, 혈전, 심근경색의 위험이 높음
진단기준
검사
심초음파 검사: 관상동맥 합병증 여부를 반드시 확인 (진단시, 발병 후 2-3주, 6-8주, 1년 후)

치료 및 경과
급성기: 고용량 IVIG + 아스피린
초기 면역글로불린 투여 후 36시간에도 발열이 지속되거나 재발열이 있는 경우: IVIG 재투여 또는 고용량 methylprednisone 투여 → 효과가 없으면 infliximab 고려
아급성기
관상동맥 합병증이 없는 경우: 저용량 아스피린을 6-8주간 투여
관상동맥류 존재: 소실시까지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 혈전예방 (dipyridamole or clopidogrel), 급성 혈전시 혈전용해제로 치료
관상동맥류의 50%는 1-2년에 걸쳐 정상으로 회복, 지속될 경우엔 장기적인 저용량 아스피린/항응고요법 지속
류마티스열
정의: GAS 감염 후 유발되는 합병증
원인: GAS의 세포막 단백 (M protein)의 혈청형 중 특정 혈청형이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숙주에서 질병 유발
임상 양상
GAS감염 후 1-3주의 잠복기
심염, 다발 관절염, 피하결절, 유연홍반 (erythema marginatum), 무도증
→ 임상 증상을 종합하여 진단
검사 소견: 인두배양검사, ASO 역가 상승 (정상: <320Todd unit)
치료
페니실린 (TOC)
관절염: aspirin 사용 (진단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엔 acetaminophen)
중증도 ~중증 심염: corticosteroid
예방: 3-4주 간격으로 Benzathine penicillin G IM 장기간 투여
[1] 홍창의 12e, pg. 847-853, 1393-1395
선천 심질환과 감염 심내막염
예방적 항생제 투여는 고위험군에서 고위험 시술에서만 투여가 권고된다.
IE 고위험군
(1) 인공판막 또는 심장판막 교정을 위한 인공보형물
(2) 과거에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은 병력
(3) 다음과 같은 선천심장질환➀ 수술적으로 교정되지 않는 청색증 심장질환, 또는 대증적인 션트나 conduits,
➁ 수술이나 카테터 시술로 완전히 교정되었으나 6개월이 지나지 않은 경우
➂ 수술이나 카테터 시술로 교정한 부위에 결손이 남아있는 경우④ 심실보조장치(VAD)
(4) 심장이식 + 심장판막병증 (IIB)예방이 권고되는 시술
: 치아 발치, 구강 수술, 잇몸조직/periapical region 시술
** diagnostic/therapeutic respiratory, GI, GU, skin, MSK 시술의 경우 2023 가이드라인에서 권고 등급 IIb 로 내림
항생제 선택
→ 가능한 경구로 1회, 수술/시술 직전 30-60분 이내로 투여Amoxicillin 2g PO : standard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Ampicillin 2g IV
페니실린 알레르기: clarithromycin or azithromycin / cephalexin / doxycycline / cefazolin /ceftriaxone
→ clindamycin 은 해리슨 21판 기준으로 regimen에서 제외되었다.
[1]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2] Harrison 22e, pg. 1036-1048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