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변 흡인 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태변 흡인 증후군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정의: 태아가 자궁 내 또는 분만 과정에서 태변에 착색된 양수(meconium-stained amniotic fluid)를 흡인하여 발생하는 증후군
특징
주로 만삭아나 과숙아에서 발생하며, 태아 저산소증과 같은 자궁 내 스트레스가 선행되는 경우가 많음
단순한 기도 폐쇄뿐만 아니라, 심한 화학적 폐렴과 폐혈관 수축을 동반하여 예후가 불량할 수 있음
병태 생리: 기계적 폐쇄, 화학적 염증, Surfactant 기능 저하라는 세 가지 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기계적 기도 폐쇄 (Mechanical Airway Obstruction): 끈적한 태변 입자가 크고 작은 기도에 박혀 기도를 막음. 완전 폐쇄된 부위는 무기폐 발생, 부분폐쇄된 부위는 ball valve effect로 인해 hyperinflation 발생
화학적 폐렴 (Chemical Pneumonitis): 태변에 포함된 담즙산, 지방산, 소화 효소 등이 폐 실질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고, 매우 심한 염증 반응을 유발 → 염증반응으로 인한 폐부종, 폐손상 악화
폐표면활성제 기능 저하 (Surfactant Inactivation): 태변의 구성 성분들이 기존에 있던 surfactant를 직접적으로 불활성화시키고, surfactant의 추가적인 생산을 억제
→ 저산소증과 염증반응은 폐혈관을 심하게 수축시켜 폐혈관 저항을 증가시킴. 실제로 MAS 환자에서 PPHN이 동반되는 것은 매우 흔하며,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임상양상
출생 시 피부, 손톱, 제대가 태변으로 착색
출생 직후부터 심한 호흡곤란(빈호흡, 함몰, 신음), 청색증
청진 시 거친 호흡음(rhonchi)과 수포음(crackle)
진단기준: 태변 착색된 양수 + 흉부 X 선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
흉부 X선 소견

폐의 과팽창(hyperinflation)과 불규칙하고 거친 폐 침윤(coarse, patchy infiltrate)이 혼재되어 나타남
흉막삼출, air leak syndrome 흔히 동반
치료
출생 직후 처치
과거에는 태변 착색된 모든 신생아에게 예방적 기관 내 흡인을 시행했으나, 현재는 지침이 변경되었음 (신생아 소생술 단원 참고)
호흡 보조 요법
산소 공급, nCPAP, 기계 환기 등 환자의 상태에 맞춰 적용
고식적인 기계환기로 동맥혈가스 농도를 유지하기 힘든 경우 고빈도진동환기요법 (HFV) 시작
PPHN이 동반된 경우 그에 따른 치료 필요 (iNO)
기타 치료
폐표면활성제 투여:Surfactant 기능 저하가 병태생리의 중요한 부분이므로, surfactant 보충 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음
ECMO: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호흡 부전 및 PPHN의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
[1] 홍창의 12e, pg. 306-32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