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소 허혈 뇌병증 (HIE)
저산소 허혈 뇌병증 (HIE)
정의: 주산기 가사(perinatal asphyxia)로 인해 뇌에 저산소증(hypoxia)과 허혈(ischemia)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신경학적 이상 증상을 보이는 임상적 증후군
주요 원인 (주산기 가사):
산전(Antepartum) 원인: 태반 기능 부전, 임신중독증, 산모의 심한 심폐 질환, 태반 조기 박리 등.
분만중(Intrapartum) 원인: 탯줄 탈출, 자궁 파열, 견갑 난산, 지연 분만, 태아 심박수 이상 등 분만 과정의 급성 이벤트가 가장 흔함.
산후(Postpartum) 원인: 심한 심폐 질환, 패혈성 쇼크, 지속성 폐고혈압증 등 신생아의 출생 후 문제
진단: 주산기 가사의 병력, 신생아의 신경학적 진찰 소견, 혈액 검사, 뇌 기능 검사 등을 종합하여 판단
산모 또는 태아 병력상 주산기 가사를 유발할 요인 동반
10분 Apgar score <5
제대동맥혈 검사시 중증 산증 (pH <7.0 or base deficit ≥ 12-16)
비정상적 의식수준, 감각작극에 대한 이상 반응, 뇌신경, 뇌간, 또는 운동기능장애, 경련 등의 이상 신경 행동학적 소견 (encephalopathy)
또는 주산기 가사와 연관된 다기관 기능 부전 (신장, 심장, 간, 폐, 위장관)
중증도 평가 (Sarnat & Sarnat staging)
치료 및 예방
발생 후 치료보다는 위험도가 높은 태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처치하여 발생률을 줄이고 예방하는 것이 우선
현재까지 유일하게 효과가 입증된 신경보호 치료는 '치료적 저체온 요법'
대상: 재태주수 36주 이상의 만삭아 또는 후기 미숙아이면서, 중등도 ~ 중증 HIE에 해당하는 임상 및 검사 소견을 보이는 환아 (Sarnat 2-3단계)
방법
출생 후 6시간 이내에 시작하는 것이 매우 중요
특수 제작된 담요나 매트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중심 체온을 33.5 ~ 34.5℃로 낮춤.
이 온도를 72시간 동안 정밀하게 유지
72시간 후에는 시간당 0.5℃ 이하의 속도로 매우 천천히 체온을 정상으로 복귀
예후
사망률 20-30%, 생존아 중 33-50%는 뇌성마비, 지적장애, 뇌전증, 학습 인지장애, 시신경 장애 등 동반
출생 시 제대혈 또는 첫 혈액 가스 검사에서 pH 6.7 미만인 경우 생후 18개월 때 90% 사망 또는 중증 후유증을 보임
[1] 홍창의 12e, pg. 301-30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