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new) > 바이러스 간염

급성 B형 간염

기본 개념

급성 B형 간염

  • 전파 경로 : 혈액 접촉, 피부 상처, 성관계, 주산기 수직감염 등 parenteral route

  • 특징: 잠복기 8-12주. 만성간염/간경변/간세포암으로 진행 가능

  • 증상 : A/N/V, 피로, 쇠약감, 간비대, RUQ pain, 황달

  • 진단 : HBsAg (+), Anti-HBc IgM (+)

[B형 간염 혈청학적 진단]

HBsAg : 현재 HBV에 감염되어있고, 감염력 존재 (6개월 이상 양성시 만성)

Anti-HBs Ab : protective Ab → 면역력이 존재함을 의미 (회복 or 백신접종)

HBeAg : 활발한 바이러스 증식을 의미, 양성이면 high infectivity

Anti-HBe Ab : 낮은 바이러스 증식, low infectivity

Anti-HBc Ab : non-protective Ab (존재 시 HBV에 감염된 적이 있음을 의미)

  • IgM anti-HBc : 급성 감염의 가장 신뢰도 높은 지표

  • IgG anti-HBc : 과거 또는 현재 감염의 증거

HBV DNA : 증식 정도 반영


[B형 간염 검사패널 이해하기]

  • 치료 : 대증치료 (단 전격성 간염 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고려)

    **청소년기 이후 HBV에 감염된 경우엔 면역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급성 간염의 형태로 발현되며 대부분 viral clearance로 이어진다. 반면 신생아기에 감염되는 경우에는 면역관용이 일어나면서 급성 간염으로 이어지지 않고 만성적인 감염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많아 수직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노출 전 예방 - 3회 (0, 1, 6개월) 근육주사

    • 대상 : 모든 신생아와 감염 또는 접종력이 없는 소아청소년 및 성인 / 의료기관 종사자, 투석 환자, 수혈을 자주받는 환자 등은 Anti-HBs가 없다면 접종이 필수!


  • 노출 후 예방

    • 신생아 수직감염 : HBsAg+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즉시 HBIG + 백신

    • 의료인의 직업적 노출 (24시간 이내가 바람직, 늦어도 7일 이내 시행)

    • 비직업적 노출



[1] Harrison’s 22e. pg. 2643-2663

[2] 예방접종의 실시기준과 방법 - B형 간염, pg. 99-100

[3] https://geekymedics.com/hepatitis-b-serology-interpretation/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