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의 영양

영양결핍

기본 개념

영양 결핍


  • 정의: 에너지, 단백질, 미량영양소의 섭취 부족 또는 불균형으로 인한 상태.

  • 분류 및 특징

    • 중증 쇠약증 (Marasmus): 에너지와 단백질 모두 심하게 결핍된 상태. 심한 체중 감소, 근육 및 지방 소실이 특징. ('피골이 상접한' 모습)

    • 부종성 영양실종 (Kwashiorkor): 단백질 결핍이 에너지 결핍보다 심한 경우.
      부종 (초기 발 부종 → 전신부종으로 빠르게 이행), 피부 변화(자극받는 부위는 검어지고 태양에 노출된 부위는 변색이 없음), 머리카락 변화, 지방간, 저알부민혈증


[1] 홍창의 12e, pg 82-86

재섭취증후군 (Refeeding syndrome)

  • 정의: 만성 영양결핍 환자에게 갑작스럽게 고열량 식이를 너무 빨리 도입하거나 과도하게 공급할 때 발생하는 치명적인 대사 합병증

  • 기전: 탄수화물 공급 → 인슐린 급증 → 세포 내로 인(P), 칼륨(K), 마그네슘(Mg) 급격히 이동 → 혈중 농도 급감

  • 주요 임상양상

    • 고열량 식이 시작 24-48시간 이내 발생, 심부전 징후와 함께 급작스런 사망에 이를 수 있음

    • 심혈관계: 부정맥, 심부전.

    • 호흡기계: 호흡근 약화로 인한 호흡 부전.

    • 신경계: 경련, 섬망, 혼수

  • 예방 및 관리

    • 점진적인 영양 공급이 가장 중요. 목표 칼로리의 25-50%에서 시작하여 3-5일에 걸쳐 서서히 증량

    • 영양 공급 전후로 전해질(인, 칼륨, 마그네슘) 수치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으로 교정함.

    • 비타민 B1(Thiamine)을 예방적으로 투여


[1] 홍창의 12e, pg 82-86

총정맥영양

  • 적응증: 일반적으로 4-5일 이상 경구 영양공급을 적절히 할 수 없는 환자


  • 주입 방법

    • 말초 정맥 영양법: 2주 이내의 유지요법으로만 사용 (낮은 삼투압 용액 사용)

    • 중심정맥 영양법: 2주 이상 정맥영양이 필요하다고 예측되는 경우 (특히 수분제한을 필요로 하는 폐질환, 심질환, 신질환 환자)

  • 보충 영양소

    • 비타민 K: 오랜기간 TPN만 공급하거나 광범위 항균제를 투여하는 신생아에서 보충 필요

    • 미량원소: 아연을 제외한 다른 미량원소 결핍증상은 4주 이상 정맥영양을 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음


[1] 홍창의 12e, pg 86-9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