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과 서론

소아의 발달

기본 개념

소아의 발달

  • 발달 (Development): 신체 각 부분의 기능이 정교해지고 구조적으로 성숙해가는 질적(qualitative) 변화를 의미. 운동 능력, 인지 기능, 언어 능력, 사회성 등 기능적 측면의 성숙 과정을 포함.

  • 발달의 원칙: 소아의 발달은 무작위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예측 가능한 원칙을 따름. 운동 발달의 순서가 바뀌는 일은 거의 없으나, 속도는 개인에 따라 다름

    • 두미 방향 (Cephalo-caudal Direction): 발달이 머리에서 시작하여 다리 방향으로 진행
      ex. 아기는 목을 가누는 능력을 먼저 획득한 후, 허리를 펴고 앉고, 마지막으로 다리를 사용하여 서고 걷게 됨. 시각발달이 보행보다 먼저 이루어짐

    • 근원위 방향 (Proximal-distal Direction): 발달이 몸의 중심부에서 시작하여 말초(사지 끝) 방향으로 진행
      ex. 어깨와 팔 전체를 움직이는 큰 동작을 먼저 할 수 있게 되고, 점차 손목, 손, 손가락을 사용하는 정교한 조절 능력을 획득

    • 손의 운동은 척골 → 요골, pronation → supination의 순서로 동작수행이 먼저 발달한 후 억제운동은 나중에 발달

    • 결정적 시기 (Critical Period): 특정 기술이나 능력이 발달하는 데 가장 민감하고 최적화된 시기가 존재함. 이 시기에 적절한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해당 기능의 발달이 저해되거나 영구적인 결함으로 남을 수 있음.

      ex. 생후 초기의 시각 자극은 시각 피질의 정상적인 발달에 필수적이며, 영유아기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언어 능력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1] 홍창의 12e, pg 19-20

감각 발달 (Sensory development)

  • 시각 (Vision)

    • 신생아: 시력이 매우 낮아 20-30cm 거리의 물체에만 초점을 맞출 수 있음 (엄마 얼굴 거리). 흑백 대비가 강한 형태를 선호함.

    • 2개월: 180° 범위 내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눈으로 따라갈 수 있음 (추시).

    • 4-5개월: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이 발달함.

    • 5-6개월: 양안 주시 기능이 미숙하여 눈이 안쪽으로 몰려 보이는 가성내사시 (Pseudostrabismus)가 나타날 수 있음. 콧대가 낮고 눈 사이가 멀어 보여 발생하며, 대부분 성장하면서 호전되나 실제 사시와의 감별이 중요

  • 청각 (Hearing): 출생 시부터 소리에 반응하며, 큰 소리에 놀람. 점차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릴 수 있게 되며(4-5개월), 익숙한 목소리에 안정감을 느낌.

  • 후각, 미각, 촉각: 출생 시부터 잘 발달되어 있음. 특히 후각을 통해 엄마의 젖 냄새를 구분하고 찾을 수 있음. 촉각은 애착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


[1] 홍창의 12e, pg 19-20

발달 표 요약

연령

운동 (Motor behavior)

적응 (Adaptive behavior)

언어 (Language behavior)

사회적 행동 (Social behavior)

~4주

팔다리를 구부리고 있는다. Moro 반사, 잡기 반사, 보행 반사가 활발하다.

시야에 보이는 불빛에 얼굴을 고정한다.

목소리에 반응을 보인다.

사람의 얼굴을 선호한다.

1개월

엎어 놓으면 턱을 들고,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 긴장 반사의 자세로 누워 있는다.

사람을 쳐다본다.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 본다.

미소 짓기 시작한다.

목소리에 반응하며 몸을 움찔거린다.

2개월

엎어 팔을 받쳐 들어올리면 머리를 몸과 수평이 되도록 든다. 긴장 반사의 자세로 누워 있는다.

움직이는 물체를 180°까지 따라 본다.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coos).

주위의 자극에 반응하여 미소 짓는다(social smile).

3개월

엎어 놓으면 두 팔을 펴서 받치며 머리와 가슴을 든다. 엎어 팔을 받쳐 들어올리면 머리를 몸 위치보다 위로 든다. 앉힌 자세에서 머리를 약간 가눈다.

물체를 보면 접근하지만 잡지는 못한다. 장난감을 보면 손을 움직인다. 양손을 몸의 가운데로 모은다.

음악 소리에 귀 기울인다. "아~" 소리를 낸다.

사회적 반응 시간이 길어진다.

4개월

엎어 놓으면 머리와 가슴을 들어 머리가 수직인 자세가 된다. 다리를 펴고 있는다. 머리를 가누므로 바로 대칭 자세로 누워 있는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붙잡아 일으켜 앉히면 머리를 가눈다.

물체에 손을 뻗어 잡고, 입으로 가져간다. 알약 크기의 작은 물체를 보기는 하나 잡으려 하지는 않는다.

크게 소리 내어 웃는다.

먹을 것을 보면 좋아한다.

7개월

엎어 놓으면 혼자 앉아 있는다. 배밀이 또는 네 발로 긴다. 세우면 다리를 뻗어 몸을 지탱한다.

다른 손으로 물건을 옮겨 쥔다. 물체를 쥘 때 손바닥요골 측 손가락을 사용한다. 작은 물체를 보면 갈고리 모양으로 손에 움켜쥔다.

세 음절 이상의 모음 소리를 낸다. 의미 없이 재잘거린다(babbles).

엄마를 더 좋아한다. 거울을 좋아한다. 생경의 감정 변화에 반응한다.

10개월

혼자 일어나 앉는다. 기어 다닌다. 붙잡고 일어선다. 가구 등을 붙잡고 걷는다.

엄지손가락집게손가락으로 물건을 쥔다. 손수건 밑에 장난감을 감추면 찾아낸다.

반복되는 자음 발음을 한다(마마, 빠빠). 이름을 부르면 반응을 한다.

'까꿍', '짝짜꿍', '바이바이' 놀이를 한다.

12개월

혼자 일어선다. 혼자 걷는다.

알약 크기의 작은 물건을 엄지와 집게손가락만으로 집어 쥔다. 달라고 하면 손에 쥐고 있던 물건을 손을 펴서 놓아준다.

"엄마", "아빠" 외에 다른 말을 몇 개 정도 말한다.

간단한 공놀이를 한다. 옷을 입힐 때 자세를 취한다.

15개월

혼자 잘 걷는다. 층계를 기어 올라간다.

종이에 그리는 시늉을 한다. 입방체를 2개 쌓아 올린다.

친숙한 물건의 이름을 말한다(예: 공). 뜻을 알 수 없는 말을 지껄인다. 간단한 것으로 한 가지를 지시하면 맡게 수행한다.

원하는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달라고 한다.

18개월

한 손으로 잡고 층계를 올라간다. 서툴게 뛴다.

입방체를 4개 쌓아 올린다. 줄긋기, 수직선을 흉내 내어 그린다. 병을 거꾸로 하여 작은 물체를 꺼낸다.

신체 부위를 1개 이상 알고 말한다. 10개 정도의 단어를 말한다.

혼자 먹는다. 소변을 보고 알려 준다. 문제가 있으면 도움을 청한다. 부모에게 입을 오므려 뽀뽀한다.

24개월

잘 뛴다. 한 번에 한 계단씩 층계를 오르내린다.

입방체를 6~7개 쌓아 올린다. 수평 직선을 흉내 내어 그린다.

간단한 문장을 말한다. 그림 이야기책을 읽어 주면 귀 기울여 듣는다.

숟가락질을 잘 한다. 간단한 옷은 혼자 벗는다.

30개월

한 발씩 번갈아 디디며 계단을 오른다.

입방체를 9개 쌓아 올린다. 수평, 수직 직선을 보고 그린다.

자신을 대명사 "나"로 말한다.

물건 치우기를 돕는다. 흉내내기 놀이를 한다.

36개월

세발자전거를 탄다. 한 발로 잠깐 서 있는다.

입방체 3개로 다리 모형을 만든다. 을 보고 그린다.

성별, 나이를 말한다. 물건 수를 셋까지 맞게 센다. 처음 보는 사람도 알아들을 수 있도록 말한다.

옷입기에 협조한다(단추를 풀고, 신발을 신는다). 손을 씻는다.

48개월

한 발로 뛴다. 가위질하여 그림을 오려 낸다.

십자형사각형을 보고 그린다. 사람을 그릴 때 머리 외에 몸의 2~4부분을 그린다. 두 선 중 더 긴 것을 가려낸다.

줄거리가 있는 말을 한다. 반대말을 안다. 전치사를 안다. 물건 수를 넷까지 정확히 센다.

혼자 용변을 해결한다. 양치질, 세수를 한다. 다른 아이들과 협조적으로 논다.

60개월

한 발씩 번갈아 들고 뛴다.

삼각형을 보고 그린다. 머리 외몸의 여섯 부분을 그린다. 둘 중 더 무거운 것을 가려낸다.

열까지 센다. 4가지 색깔을 알고 말한다. 단어의 의미를 묻는다.

혼자 옷을 입고 벗는다. 소꿉놀이를 한다. 다른 아이들과 경쟁적 놀이를 한다.

운동 발달 (Motor development)

  • 대근육 운동 (Gross Motor Development): 자세 유지, 균형 감각, 이동 능력과 관련된 큰 근육의 발달

    • 목 가누기: 3개월

    • 뒤집기: 4-5개월

    • 혼자 앉기: 6-7개월

    • 기기 (Crawling): 8-9개월

    • 붙잡고 서기: 9-10개월

    • 혼자 걷기: 12-15개월

    • 서툴게 뛰기: 18개월

    • 계단 오르기: 24개월

    • 세발자전거: 36개월

    • 한발로 뛰기, 가위질: 48개월

    • 한발씩 번갈아 들고 뛰기, 줄넘기: 60개월

  • 소근육 운동 (Fine Motor Development): 주로 손과 눈의 협응을 통해 이루어지는 정교한 움직임의 발달

    • 손 뻗기 및 잡기 (Grasping)

      • 주먹을 쥐고 있는다: 출생시

      • 손바닥을 펴고 있는다: 3-4개월

      • 물체를 보면 팔과 손을 뻗는다: 4개월

      • 척골측 잡기 (Ulnar grasp): 4-5개월. 손바닥의 새끼손가락 쪽을 이용하여 물건을 쥠.

      • 요골측 잡기 (Radial-palmar grasp): 7개월. 엄지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사용하여 물건을 쥠.

      • 집게 잡기 (mature pincer grasp): 10개월.

      • 쥐고 있는 물건을 의도적으로 놓아줌: 10-12개월

    • 블록 쌓기 (Building blocks)

      • 15개월: 2개

      • 18개월: 4개

      • 24개월 (2세): 6개

      • 36개월 (3세): 입방체 3개로 다리모형만들기

    • 도형 모방 그리기 (Copying shapes)

      • 수직선: 2세

      • 원 (Circle): 3세

      • 사각형 (Square), 십자가: 4세

      • 삼각형 (Triangle): 5세

      • 마름모 (Diamond): 7세

[1] 홍창의 12e, pg 19-26

언어 및 사회성 발달 (Language & Social Development)

언어 발달 (Language Development)

  • 2개월: 의미 없는 소리인 쿠잉(Cooing)을 시작함. ('아', '우' 등)

  • 4개월: 크게 소리내어 웃음

  • 7개월: 세음절 이상의 모음소리, 의미없는 옹알이(Babbling)를 시작

  • 10개월: 반복되는 자음발음(마마,빠빠), 이름 부르면 반응함

  • 12개월: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함. (대부분 "엄마" 또는 "아빠" 및 몇개의 다른 단어)

  • 18개월: 약 10-20개의 단어를 사용, 1개 이상의 신체부위를 알고 말함

  • 2세 (24개월): 두 단어를 연결한 문장을 사용함. ("엄마 까까", "아빠 안녕"). 100개 이상의 단어를 인지

  • 3세 (36개월): 세 단어 이상의 문장을 사용하며, 간단한 대화가 가능해짐. 자신의 이름, 나이, 성별을 말할 수 있음. 3까지 셀 수 있음

  • 4세 (48개월): 4까지 세기, 줄거리가 있는 말을 함. 반대말과 전치사를 암

  • 5세 (60개월): 10까지 세기, 4가지 색깔을 알고 말함


사회성 발달 (Social Development)

  • 2개월: 사람의 얼굴을 보고 의도적으로 미소를 짓는 사회적 미소(Social smile)가 나타남.

  • 4개월: 먹을 것을 보면 좋아함

  • 6-8개월: 낯가림(stranger anxiety)과 분리불안(separation anxiety)이 시작됨. 이는 주 양육자와의 애착이 형성되었다는 증거

  • 10개월: 까꿍, 짝짜꿍, 바이바이 놀이

  • 12개월: 간단한 공놀이, 옷입힐 때 자세를 취함

  • 15개월: 원하는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달라고 함

  • 18개월: 혼자 먹기,도움 요청, 이행기 대상(Transitional object)을 가지고 다니기도 함.

  • 24개월: 숟가락질을 잘함, 간단한 옷은 혼자 벗음

  • 36개월: 옷입기에 협조 (단추 풀고 신발신기), 손 씻기

  • 48개월: 혼자 용변 해결, 양치질, 세수, 협조적 놀이

  • 60개월: 혼자 옷을 입고 벗음. 소꿉놀이. 다른 아이들과 경쟁적 놀이


[1] 홍창의 12e, pg 19-26

발달장애를 의심해야 하는 소견

다음 중 하나 이상 만족하는 경우

  • 12개월에 한마디도 말을 하지 않음

  • 18개월에도 말보다는 몸짓으로 의사표현을 함

  • 만 2세에도 간단한 두단어 문장을 만들지 못함

  • 3세가 되어도 문장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못함

1개의 글


by

먼산언저리

·

4일 전

도형모방그리기에서 2세는 수직선이 아니라 수평선 아닌가요

2세는 수직선이 아니라 수평선을 따라그릴수 있는거 아닌가요?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