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과 서론

소아의 성장

기본 개념

소아의 성장

  • 성장: 신체의 크기나 양이 증가하는 양적(quantitative) 변화를 의미. 이는 세포의 증식과 크기 증가에 따른 결과이며, 키, 체중, 머리둘레, 장기 크기 등의 계측 가능한 지표로 평가

  • 장기별 성장유형


    ① 일반형 (General type)

    • 대상 기관: 키, 체중, 근육, 골격, 호흡기, 소화기, 신장, 심장 등 대부분의 신체

    • 성장 패턴: 전형적인 S자형 곡선 - 영유아기 및 청소년기의 급성장

    • 임상적 의의: 영아기 및 사춘기 영양/건강 관리가 전체 성장에 결정적 영향

    ② 신경형 (Neural type)

    • 대상 기관: 뇌, 척수, 시각 기관 등 중추신경계

    • 성장 패턴: 출생 초기부터 급속하게 성장하여 만 4세경 이미 성인 수준의 약 80%에 도달

    • 임상적 의의: 영유아기(특히 만 2세까지) 두뇌 발달이 평생의 지적 능력 기초를 형성

    ③ 림프형 (Lymphoid type)

    • 대상 기관: 흉선(Thymus), 림프절(Lymph node), 편도(Tonsil) 등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림프 조직

    • 성장 패턴

      • 아동기에 걸쳐 꾸준히 성장하여 10-12세경 성인 수준의 약 2배(200%)까지 최대로 발달

      • 청소년기 이후에는 점차 크기가 감소(퇴화)하여 18세경 성인 수준(100%)

    • 임상적 의의: 학령기 아동의 활발한 면역 체계 발달을 반영. 소아의 편도가 커 보이는 것은 정상 과정일 수 있음

    ④ 생식형 (Genital type)

    • 대상 기관: 고환, 난소, 자궁, 유방 등 1차 및 2차 성징과 관련된 생식 기관

    • 성장 패턴

      • 출생 후 사춘기 이전까지는 성장이 매우 미미하여 거의 변화가 없음

      •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발달, 일반형의 2차 성장 급증기와 시기적으로 일치


[1] 홍창의 12e, pg 11

주요성장지표 (키, 체중, 머리둘레, 가슴둘레)

소아 성장의 기본적, 객관적 평가 방법으로 단발적 측정보다 변화의 속도와 패턴 추적이 중요


[키 (Height)]

  • 성장 속도

    • 출생 시: 평균 50cm

    • 제1 성장 급증기 (영아기): 첫 1년간 약 25cm 성장, 1세에 약 75cm 도달

    • 성장 완만기 (소아기): 만 2세 ~ 사춘기 이전, 매년 5~7cm씩 성장

    • 제2 성장 급증기 (사춘기): 연간 8~12cm까지 급격히 성장

  • 신장의 배수 관계

    • 만 1세: 출생 시의 1.5배 (약 75cm)

    • 만 4세: 출생 시의 2배 (약 100cm)

    • 만 12세: 출생 시의 3배 (약 150cm)

  • 상절 대 하절의 비 (U/L ratio)

    • 출생: 1.7 (몸의 Midpoint 배꼽보다 2cm 위쪽) → 2세: 1.4 (midpoint 배꼽위치) → 성인: 1.0

    • 왜소증 (dwarfism), 구루병 등의 뼈질환, 갑상샘저하증 → U/L ratio 증가

    • 성장호르몬 결핍 → U/L ratio 정상


[체중 (Weight)]

  • 출생 체중: 평균 3.3kg (정상 범위 2.6-4.4kg).

  • 생리적 체중 감소: 생후 3~4일간 출생 체중의 5~10% 일시적 감소 (태변 및 소변의 배설, 수분소실, 수유량 부족),7 ~ 10일 내 회복함.

  • 체중 증가 (출생 체중 대비)


    [머리둘레 (Head Circumference)]

    • 의의: 뇌 성장(신경형 곡선)을 반영하는 중요 지표, 특히 만 2세까지 필수 측정. 소두증, 뇌수종 등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소견.

    • 성장

      • 출생 시 평균 34-35cm (흉위 33cm 보다 약간 큼)

      • 1세에 46cm

      • 4세 50cm (성인의 약 90%)

    • 천문(Fontanel) 폐쇄

      • 소천문 (뒤): 생후 6~8주 경 폐쇄.

      • 대천문 (앞)

        • 1-3개월 시 크기: 2cm, 10-12개월 크기 : 1cm

        • 평균 생후 14~18개월 경 폐쇄. 뇌 성장 여유 공간 제공.

      • 봉합선: 6-8개월 닫힘

      • 비정상 천문 폐쇄

        • 너무 일찍 닫히면 조기 두개골유합증, 소두증, hyperthyroidism 등 감별

        • 너무 늦게 닫히면 뇌압증가, hypothyroidism, 골연화증 등 감별


[흉위]

  • 출생시 흉의 33cm; 두위보다 1cm 작음, 생후 1년이 되면 두위와 흉위 비슷

  • 영아기 흉곽은 전후경과 좌우경이 비슷, 자라면서 좌우경이 커짐


[체표 면적 (Body surface area)]

  • 대사율, 수분 요구량 등과 밀접한 관련. 약물 용량 결정에 중요하게 사용

  • 체중당 체표면적이 성인보다 넓음


[1] 홍창의 12e, pg 12-15

기관별 성장 특징

[치아/구강]

  • 생치 (dentition)

    • 유치 : 모두 20개, 생후 2년반이 되면 모두 맹출 (유치 수 = 월령 - 6)

    • 영구치: 사랑니 포함 총 32개, 만 6세 경 첫번째 영구치인 어금니 맹출 시작

    • 맹출 지연: 정상 시기보다 치아 맹출이 현저히 늦는 경우로, 영양 결핍, 내분비 질환, 유전적 요인 등을 고려


  • 침분비 (salivation)

    • 3개월; 침 분비가 더욱 많아지면서 침을 흘리게 됨

    • 큰 아이들의 경우 신경손상으로 인하여 침을 삼키지 못해 침을 흘리는 경우

      Drooling : 생치, 구내염, 당뇨병, 말단통증 등


[호흡기/면역계/순환기]

  • 부비동 (Paranasal sinuses)

    • 특징: 출생 시 미발달, 연령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달 (pneumatization)

    • 발달 순서

      • maxillary/ethmoid (출생 시 이미 존재) → sphenoid (3-5세) → frontal (7-10세)
        : 연령에 따른 부비동염의 호발 부위와 연관

      • mastoid: 출생 시 단 1개의 cell, 3-4세에 pneumatization 완료

  • 흉선 (Thymus)

    • 기능: T-림프구 성숙을 담당하는 1차 면역기관

    • 패턴: 림프형 곡선을 따라 10-12세에 최대 크기 도달 후 위축

    • X선 소견: 영아의 흉부 X선에서 '돛 모양(sail sign)'은 정상 소견
      → 영아의 가슴샘 위축: stress, infection, steroid 치료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


      Thymic sail sign and Spinnaker-sail sign

      좌: 정상 thyme sail sign

      우: pneumomediastinum으로 인해 thymus가 lateral, superior displacement 된 소견

  • 심장

    • 신생아의 heart apex: 4th ICS midclavicular line 외측에 존재

    • 2세의 heart apex: 5th ICS, midclavicular line 또는 약간 내측

    • CT ratio: 1세 이후 50%이내, 1세 미만 55%까지 정상


[소화기계]

  • 위 (Stomach) 용적

    • 신생아: 약 30~50mL, 횡위

    • 1세: 약 250~350mL

    • 5세: 약 700~830mL

    • 성인: 약 3000mL

    • 특징: 신생아는 위 용적이 작아 수유 후 역류가 흔함

  • 간 (Liver) & 비장 (Spleen)

    • 간: 영유아기 우측 늑골 하연에서 1~2cm 촉진 (신생아 2cm, 1세 1cm)

    • 비장: 정상적으로는 촉진되지 않으나, 일부 소아에서 깊은 숨을 들이쉴 때 끝이 만져질 수 있음


[비뇨생식기계]

  • 신장 (Kidney): 신생아는 농축 기능이 미숙하여 수분/전해질 불균형에 취약

  • 방광 (Bladder) 용적: (나이+2) x 30mL로 대략 추정 가능.

  • 배뇨 (Urination) 횟수: 연령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

    • 신생아 10-30회 → 2-3세 10회 → 3-4세 약 9회 → 12세 4-6회

  • 생식기 (Genital organ)

    • 신생아의 혈성 분비물: 모체의 estrogen withdrawal에 의해 나타나는 정상 소견

    • 고환: 생후 2주까지는 음낭으로 하강. 고환 용적 4mL 이상 시 사춘기 시작


[골격계]

  • 골 연령 (Bone age)

    • 정의: 역연령(실제 나이)과 별개로 뼈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지표

    • 평가 방법: 주로 손/손목의 X-ray 사진을 촬영하여 화골핵(ossification center)의 수, 크기, 모양을 표준 도감과 비교하여 평가

    • 의의: 개인의 생리적 성숙도를 반영, 성장 장애 및 내분비 질환 진단에 중요함


[1] 홍창의 12e, pg 14-18

성장의 평가

  • 성장 평가에 가장 좋은 방법은 성장 도표의 분석

    • 남녀 구분하여 연령별 체중, 키, 두위, 키별 체중, 체질량지수 를 평가

    • 정상 범위: 연령과 성별이 같은 군의 평균 ± 2SD ( 5~95백분위수 범위에 분포)

    • 성장장애: 체중이 5% 미만이거나, 일정기간동안 백분위곡선이 2개 밑으로 떨어지는 경우

  • 소아의 성장 곡선 유형


    • 정상 성장: 정해진 백분위수 곡선을 따라 성장

    • 성장 장애: 4종류의 특징적인 성장 유형


      출생 후 원인에 의한 성장 저하

      • 정상 키와 체중으로 출생한 후, 성장 곡선이 두개 이상의 주요 백분위 곡선을 하향 이탈

      • 영양결핍, 만성질환, 내분비질환, 정서적 문제 등의 기저 원인에 대한 평가 필요

      체질성 성장지연 (constitutional growth delay)

      • “늦게 크는 아이” 유형, 저신장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 출생시 체중과 키 정상, 1세 말에 속도가 저하되어 표준 성장곡선의 하단을 따라 성장

      • 사춘기 말기에 따라잡기 성장을 통해 최종 성인 키에 도달, 대부분 비슷한 양상의 가족력

      • 골연령 < 역연령

      가족성 저신장 (familial short stature)

      • “원래 작은 아이” 유형

      • 소아와 부모 모두 작고, 정상 범위 바로 아래 수준에서 정상 성장 곡선에 평행하게 진행

      • 성장 속도 정상, 최종 성인 키는 작은 편에 속함

      • 골연령 = 역연령

      선천성 원인

      • 출생시부터 작으며, 출생 후에도 해당 연령 평균치보다 작음.

      • 염색체 이상, 선천대사이상, TORCH infection, 심한 조산아, 약물복용(페니토인,알코올) 등


  • Mid-parental Height (MPH)

    • 예상 최종 성인 키 예측값, 계산된 MPH와 현재 성장 궤적을 비교하여 환경/병적 요인 개입 여부 평가

      남아 (cm) = [ (부 키 + 모 키 + 13) / 2 ] ± 8.5cm

      여아 (cm) = [ (부 키 + 모 키 - 13) / 2 ] ± 8.5cm


  • 교정연령 (corrected age)

    • 미숙아(이른둥이)의 성장을 평가할 때 사용

    • 교정 연령 = 생후 개월 수 - [40주 - 출생 시 재태 주수]/4

    • 미숙아는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을 통해 만 2-3세경에는 정상 성장 곡선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에는 교정 연령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적절


[1] 홍창의 12e, pg 13, 18-1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