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및 연관 용어
연하곤란 (Dysphagia): 음식물이나 액체가 입에서 인두를 거쳐 식도로 넘어가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
무연하증 (Aphagia): 삼킬 수 없는 상태. 급성 음식물 폐색 시 나타남
삼킴통증 (Odynophagia): 삼킬 때 통증을 느낌. 주로 점막 궤양 때문이며, 연하곤란과 동반될 수 있음
인두이물감 (Globus pharyngeus): 목에 이물질이 걸린 느낌. 실제 삼킴 행위와는 무관하며, 삼키면 오히려 완화되기도 함
증상 : 속쓰림, 삼킴통증, 가슴통증, 삼킴곤란
분류
기본 분류: 발생 위치에 따라 구인두형(Oropharyngeal)과 식도형(Esophageal)으로 나뉨
기전별 분류
구조적 (Structural): 음식 덩이가 크거나 내강이 좁아져 발생.
추진성/운동성 (Propulsive/Motor): 연하곤란: 연동운동 이상 또는 근육 기능 장애로 발생
연하곤란의 Work up
구인두 삼킴곤란 : 삼킴 시작의 어려움, 침흘림, 기침, 코역류, 흡인. 액체류 삼킴이 더 힘듦
신경성 원인: 뇌졸중, 파킨슨병, ALS
근육성 원인: 중증근무력증, 다발근육염
구조적: 젠커 게실, 종양, cricopharyngeal bar 등
→ VFSS (비디오투시 삼킴검사): DOC
→ 필요시 후두경 검사, 신경학적 평가 시행
식도성 삼킴곤란 : 흉골 뒤 또는 목에서 느낌, 가슴통증, food impaction 등
structural : 고형식만 곤란 → 식도내시경검사, 식도 조영검사
고형식 → 유동식 연하곤란이 진행성으로 악화: 식도암 의심
간헐적인 고형식 연하곤란: Lower esophageal ring (Schatzki ring)
기타: 소화성 협착, 호산구성 식도염, 방사선 식도염 등
propulsive : 초기부터 고형식 유동식 모두 곤란 → 식도내시경검사, 식도내압검사, 식도조영검사
GERD with weak peristalsis, 식도이완불능증, scleroderma, diffuse esophageal spasm(DES)
연하통이 주증상인 경우: 염증성 질환, 식도 손상 등
→ 상부위장관 내시경: 식도 삼킴곤란의 감별진단에 가장 유용한 첫번째 검사
→ 식도 내압검사: 운동성 질환의 확진을 위해 시행
→ 바륨 식도 조영술: 협착, 게실, 수술 기왕력 등이 있을 때 보조적으로 유용한 검사
→ 기능성 내강 영상 탐침 (FLIP): 식도위접합부 운동성 평가에 유용한 최신 기술
[1] Harrison 22e, pg. 293-296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