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식도내압검사
질환별 식도내압검사 결과 요약
→ Achalasia: LES sphincter tone 항진 및 Peristalsis 저하
→ DES: 식도 중하부 연축 및 LES sphincter 이완
→ Scleroderma: LES sphincter tone 저하 및 peristalsis 저하 → 연하곤란보다는 GERD 증상으로 주로 내원
[1] Harrison 22e, pg.2503-2509
[2] Approach to the evaluation of dysphagia in adults - uptodate
정의
esophageal myeteric plexus의 ganglion cell이 소실되면서 LES 이완장애와 식도체부의 연동운동 소실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성 질환
임상양상
연동 운동 소실 + 식도 하부 조임근 이완불능 → 고형식+유동식 연하곤란, 음식물 역류, 흉통
식도내시경 상 hypertrophic LES 확인
검사 : 식도위내시경, 식도조영술(식도확장, 새부리모양), 식도내압검사 (DOC)
치료
약물 치료 - 경도~중등도 환자에게 일시적 사용 : Nitrate, CCB
Definitive therapy: 풍선확장술 / 경구 내시경 식도 근절제술 (POEM) / Heller myotomy
→ 풍선확장술은 가장 흔하게 시행하는 초기 치료이고, Heller myotomy와 비교했을 때 5 year outcome이 유사
→ POEM은 가장 최신에 개발된 치료법으로, 풍선 확장술에 비해 증상 개선율이 좋고, Heller myotomy와 비교했을 때는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남 [1]
→ Type I, II achalasia의 경우 세가지 치료 옵션 모두 효과적이나, Type III achalasia의 경우 POEM을 우선적으로 고려
내시경 시술/수술적 치료를 고려하지 못하는 환자: 보툴리늄 독소 주입
예후: 치료하지 않을 경우 stasis esophagitis에 의한 squamous cell carcinoma 발생 위험 증가
[1] Harrison 22e, pg.2503-2509
[2] 2019 Seoul Consensus on Esophageal Achalasia Guidelines
[3] ACG Clinical Guideline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chalasia, 2020
해리슨 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DES의 용어 변경: Diffuse esophageal spasm → Distal esophageal spasm
진단 기준에 짧은 latency 추가
정의: 정상적인 LES 이완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인 식도 수축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
식도 연축의 부조화, 식도 과도하게 여러 번 수축 (non-peristaltic contraction)
증상 : 쥐어짜는 듯한 흉통, 삼킴곤란 (고형식 + 유동식), 역류
진단
바륨식도조영술 : cork screw esophagus
식도내압검사: 확진검사 → occurrence of contractions in the distal esophagus with short latency relative to the time of the pharyngeal contraction
치료
CCB(Nifedipine), Nitrate (Isordil), 항불안제 **anticholinergic 투여는 금기
약물에 반응없고, 매우 증상이 심하며 체중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제한적으로 POEM 고려
[1] Harrison 22e, pg.2503-2509
임상양상: Hypotensive LES & absent peristalsis (주로 하부 식도 침범)
→ 뻑뻑해 잘 못내려가고, LES 열려있어서 GERD 잘생김
증상 : 흉통, 위식도 역류, 삼킴곤란 등
치료 : PPI(위산억제) 등 GERD 관리, 유동식
[1] Harrison 22e, pg.2503-2509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