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성 질환 (Hepatocellular)
특징: 간세포 손상, 염증, 괴사 우세
원인: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 관련 간질환 등
담즙정체성 질환 (Cholestatic)
특징: 담즙 흐름 장애 우세
원인: 담석/악성종양에 의한 폐쇄,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PBC) 등
혼합형 (Mixed)
간세포성과 담즙정체성 특징이 혼재
원인: 특정 약물 유발 간손상, 담즙정체형 바이러스성 간염 등
전신 증상: 피로감(가장 특징적, 주로 오후에 심화), 쇠약감, 구역, 식욕 부진
간 특이적 증상
황달(Jaundice): 간질환의 가장 특징적 증상. 소변 색이 먼저 어두워짐
소양감(가려움증): 담즙정체성 질환에서 조기에 나타남
우상복부 통증: 간 피막(Glisson's capsule) 팽창으로 발생
기타: 진한 소변, 옅은 대변, 복부 팽만 등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 징후
근육 위축, 복수, 부종, spider angioma, palmar erythema
남성: 여성형 유방, 고환 위축 (고에스트로겐혈증)
바이러스성 간염 위험요인
A형: 오염된 물/음식 섭취, 개발도상국 여행
B/D형: 성 접촉, 주사 약물 사용, 모자간 수직감염
C형: 주사 약물 사용(가장 흔한 위험인자), 1992년 이전 수혈력
E형: 오염된 물(개발도상국), 덜 익힌 돼지고기/야생동물 섭취(선진국)
알코올 섭취력: 섭취량, 기간, CAGE 설문(알코올 사용장애 선별)
약물력: 처방약, 한약, 건강보조식품 등 모든 약물 복용력 확인
가족력: 윌슨병, 혈색소증,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등
시진: 공막 황달, 거미 혈관종, 복부 정맥 확장 (caput medusa)
촉진: 간 비대, 간 압통, 비장 비대
타진: 복수, 간 크기 측정
간성 뇌증 소견
Asterixis (flapping tremor)
수면 패턴 변화, 성격 변화 등 미묘한 초기 증상
Fetor hepaticus: 달고 비린내 나는 호흡
특정 질환 연관 소견
Kayser-Fleischer 고리: 윌슨병
듀피트렌 구축, 이하선 비대: 알코올 사용 장애
[1] Harrison 22e, pg.2627-2637
혈액 검사
간 효소 검사 (LFT)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간세포 손상 지표. ALT가 간에 더 특이적
AST:ALT > 2:1: 알코올 관련 간질환 강력 시사. (AST는 보통 300 IU/L 미만)
>1000 IU/L의 급격한 상승: 급성 바이러스 간염, 허혈성/독성 간손상
AST, ALT mild elevation (<5 x ULN)의 감별진단
ALT predominant: 만성 B/C형 간염, 급성 간염, 지방간, 약물손상, 윌슨병, 자가면역질환
AST predominant: 알코올성 간질환, 지방간, 간경화
Alkaline Phosphatase (ALP)
담즙정체, 간 침윤성 질환(종양 등)에서 주로 상승
뼈, 태반에서도 유래 가능. 간 유래 확인 위해 GGT 또는 5'-NT 측정
간 손상의 예후 지표
빌리루빈 (Bilirubin)
비포합(간접) 빌리루빈 상승: 용혈성 질환, 길버트 증후군
포합(직접) 빌리루빈 상승: 간/담도계 질환 시사
알부민 (Albumin)
반감기가 길어(약 20일) 만성 간질환의 중증도 반영. 급성에서는 정상일 수 있음
프로트롬빈 시간 (PT, INR)
반감기가 짧아 급성 간 기능 저하의 가장 좋은 지표
비타민 K 결핍(폐쇄성 황달 등)과 감별 위해 비타민 K 주사 후 반응 확인
영상 검사
초음파 (US): 1차 선별검사. 담관 확장, 담석, 간의 실질 변화, 복수 확인
컴퓨터단층촬영 (CT) / 자기공명영상 (MRI): 간 종괴의 정밀 평가 및 감별진단
MRCP / ERCP: 담도계 구조 정밀 시각화
MRCP: 비침습적, 담관 폐쇄, 선천성 기형 진단에 유용
ERCP: 침습적. 진단과 동시에 조직검사, 괄약근 절개, 스텐트 삽입 등 치료 가능
간 조직검사
진단이 불확실할 때, 만성 간질환의 중증도 및 병기 평가에 표준 검사
[1] Harrison 22e, pg.2627-2637
비침습적 섬유화 평가
혈액 기반 모델
FIB-4 지수: 나이, AST, ALT, 혈소판 수치로 계산
APRI: AST, 혈소판 수치로 계산
영상 기반 모델
탄성초음파 (TE, FibroScan): 간의 경직도(stiffness)를 측정하여 섬유화 예측
간경변 예후 평가 도구
Child-Pugh 점수: 빌리루빈, 알부민, PT, 복수, 뇌증 5개 항목으로 평가 (Class A, B, C).
MELD 3.0 점수: 간이식 배정에 사용. 빌리루빈, 크레아티닌, INR, 나트륨, 알부민을 포함하여 단기 사망률 예측
[1] Harrison 22e, pg.2627-2637
감마 글로불린 : 대부분의 만성 간 질환에서 상승
IgG 상승: 자가 면역 간염
IgM 상승: Primary biliary cirrhosis (PBC)
IgA 상승: Alcoholic liver disease
면역학적 검사
항미토콘드리아 항체(AMA): PBC
항핵항체(ANA): 자가면역 간염
항평활근항체(SMA): 자가면역 간염
항호중구세포질항체(ANCA): PSC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1] Harrison 22e, pg.2627-2637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