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 황달과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 개요

기본 개념

빌리루빈의 생성과 대사

  1. 적혈구 파괴 (Heme degredation)

    • 노화된 적혈구는 비장에서 파괴됨

    • hemoglobin → heme → bilirubin (indirect/unconjugated) 으로 분해

  2. 간접 빌리루빈 (unconjugated bilirubin)

    • 지용성

    • 혈액 내의 알부민과 결합하여 간으로 이동

  3. 간에서의 대사

    • Hepatocellular uptake : 간세포가 간접 빌리루빈을 포합 (conjugation) → 수용성인 직접빌리루빈 (conjugated bilirubin)으로 전환

  4. 담즙으로 배출 (Biliary excretion)

    • 직접 빌리루빈은 담즙과 함께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

  5. 장 내 대사

    • 장내 세균에 의해 직접 빌리루빈은 우로빌리노겐으로 전환

    • 일부는 대변으로 배설 (80-90%), 일부는 소장에서 재흡수 (10-20%)

    • 재흡수된 우로빌리노겐의 일부는 portal vein 혈류를 타고 간에서 다시 빌리루빈으로 전환, 나머지 일부는 소변으로 배출

**간접빌리루빈은 혈액 내에서 알부민과 강하게 결합되어있는 상태로 소변으로 배설되지 않는다. 한편 직접빌리루빈은 신장에서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 상태이다. 즉, 황달이 발생하고 소변 색이 짙어진다면 이는 직접빌리루빈의 상승을 시사하는 소견이다.


[1] Harrison’s 21e. pg. 2557

고빌리루빈혈증/황달 개요

  • 정의: serum total bilirubin > 2.0~2.5 mg/dL (>34 µmol/L)

    → bilirubin ≥ 3mg/dL 이상이 되면 혈액 내 빌리루빈이 조직을 침투하여 피부, 공막등이 노란색을 띠는 황달이 나타남

  • 원인

    • Prehepatic jaundice: 적혈구의 과도한 파괴로 인해 간의 빌리루빈 배설 능력보다 더 많은 간접빌리루빈이 생성되는 경우

    • Intra-hepatic jaundice

      • Hepatocellular jaundice: 여러 원인에 의해 간실질세포 손상으로 인해 간접빌리루빈, 직접빌리루빈이 복합적으로 상승

      • 간세포의 빌리루빈 흡수/포합 과정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 간내 biliary excretion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 Post-hepatic jaundice

      • 담도 폐쇄로 인해 담즙이 장으로 배설되지 못하는 경우

  • D/T ratio (직접빌리루빈/총빌리루빈 비율)

    • <20~30%: indirect/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 >60-70%: direct/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 30-60%: mixed hyperbilirubinemia, hepatocellular jaundice 시사


[1] Harrison’s 21e. pg. 315-321

[2] Bilirubin in clinical practice: a review

황달 환자의 평가

[1] Harrison’s 21e. pg. 317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