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콩팥병-미네랄 골질환 (CKD-MBD)
1) Osteitis fibrosa cystica (Brown tumor, 낭성섬유뼈염) : PTH 증가 / GFR < 60부터 시작
GFR 감소 → P 배출 감소 → [Ca]-[PO4] 평형 깨짐 → P 증가로 Ca 감소, FGF -23 증가
FGF-23: 인 대사 조절 인자 / Vit D 합성 억제, 신장에서 인 재흡수 억제
FGF-23 의 증가와 함께 신기능저하로 인해 Vit. D 합성 감소 + Ca 결핍 → 보상적 PTH 항진
2) Osteomalacia (골연화증)
원인 : 알루미늄 과다(P 제거 약물 성분), Vit. D 합성 감소, 대사성 산증
Bone matrix가 mineralization이 부적절하게 되어 발생
3) Adynamic bone disease (무력성 골질환) : PTH 정상 or 저하
원인 : 과다한 Vit. D 치료(calcitriol), Ca 과복용
[치료]
2nd hyperparathyroidism으로 인해 Parathyroid gland의 mass가 커지기 전에 예방!
목표 - PTH: 150~300 / Ca: 10 / P: 4.5
PTH, Ca, P의 수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약제 선택이 필요
PTH 억제
Calcitriol: PTH를 억제하나 고칼슘&고인혈증 유발 가능
Paricalcitol: Calcitriol의 analoge로 고칼슘혈증 적게 유발
Calcimimetic agents(e.g. cinacalcet): 부갑상선 세포의 칼슘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PTH 억제
P 농도 감소
기본적으로 저인식이
Ca carbonate, Ca acetate: 음식물로 섭취되는 인의 흡수 억제 / 고칼슘혈증 유발 가능
Sevelamer : Ca 농도를 올리지 않고 인 흡수 억제 가능
[1] Harrison 21e, pg.2313-2315
[2] Adynamic bone disease associated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uptodate
[3] Management of hyperphosphatemia in adul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 uptodate
[5] Management of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adult patients on dialysis - uptodate
만성 신부전의 기타 합병증
대사성 산증 (<20–23 mmol/L): oral bicarbonate로 정상 범위 유지
고칼륨혈증: 일반적인 치료와 동일
빈혈 : EPO (목표: 10-11.5g/dL)
철분 결핍 존재 시 철분 보충도 함께 필요
말초신경병증 (하지->상지, 원위부->근위부, 감각->운동) : 혈액투석
[1] Harrsion 21e, pg. 2312-2317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