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혈관 질환

만성 창자간막 허혈

기본 개념

만성 장간막 허혈 (chronic mesenteric ischemia, CMI)

  • 정의: 식후 정상적인 장 혈류 증가 실패. 장 협심증 (Intestinal angina)라고도 부름

  • 원인 및 특징

    • 죽상경화증에 의한 SMA or 복강 동맥의 협착

    • 측부 순환 발달때문에 3개의 복강 주요동맥 중 2개 이상 막혀야 증상 발현

  • 증상

    • Classic triad: 재발성 식후 경련성 통증, 점차 식사에 대한 공포감 & 체중 감소, 만성 설사

  • 검사

    • 선별검사: 듀플렉스 초음파

    • 확진검사: CT Angiography (2개 주요혈관의 50% 이상 협착확인)

    • 다른 복부질환 배제 (내시경 등)

  • 치료

    • 내과적 치료 : 운동, 금연, 항혈소판제 및 지질강하제

    • 재관류술

      • 1차치료: endovascular stenting (짧은 분절 협착에 유리)

      • 개복 수술: 혈관 내 치료 실패/부적합한 경우, 또는 젊고 건강한 환자에서 고려

      • 역행성 개복 장간막 스텐트 삽입술 (ROMS): 개복하여 장 상태를 직접 확인하며 스텐트 삽입


[1] Harrison 22e, pg.2586-2589

[2] Chronic mesenteric ischemia - uptodate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