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 감염 심내막염

감염 심내막염

기본 개념

감염 심내막염(Infective Endocarditis, IE)

  • 정의: 심장 내막 (주로 판막)이나 심장 내 인공구조물에 미생물이 감염되어 vegetation을 형성하는 질환 → 판막을 침식하여 심부전, 전신색전증 등을 유발

  • 원인균: 사슬알균, 포도알균, 장알균 등

  • 증상: 발열, 심잡음(발열 + 심잡음 시 감염 심내막염을 떠올리자!), 선상출혈(splinter hemorrhage), Roth 반점, Osler결절, Janeway병변

  • 진단 과정


** multimodality imaging 의 활용

  • 1차로 TTE + TEE를 시행 → perivalvular complication 확인

  • 필요한 경우 cardiac CT, FDG-PET/CT, WBC SPECT/CT 사용하여 판막 주위부 병변 확인

  • definite 이면서 extracaridac complication이 있는 경우 또는 possible/rejected 인 경우 brain/whole body imaging을 시행하여 색전 병변 확인(minor criteria로 인정)

  • 진단기준


  • 초음파 소견

  • 치료: 항생제(우선 경험적 항생제 후 혈액배양 결과 나오면 조정) + 적응증 해당 시 수술

    Phases of antibiotic treatment for infective endocarditis in relation to outpatient parenteral antibiotic therapy and partial oral endocarditis treatment.
    • 수술적응증

      1. 심부전/심인성 쇼크: 급성판막역류나 폐색 등으로 심부전/심인성 쇼크 유발되는 경우

      2. 조절되지 않는 감염: 농양/가성동맥류 동반, 효과적 항균치료제 없는 경우(진균 OR 다제내성균 감염 등), 항생제 치료에 효과 없는 경우/감염이 판막주변부로 퍼진 경우 (fistula, heartblock, enlarging vegetation, new AV block, prostthetic dehiscence), 진균감염/다재내성균 감염

      3. 색전증

        • 충분한 항생제 치료에도 Aortic/mitral vegetation이 10mm 이상으로 지속되면서 1번 이상의 systemic embolus가 발생한 경우

        • Vegetation의 크기가 10mm 이상이면서 다른 수술 적응증이 있는 경우


[1]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pg. 3960-3963, 3969, 3971-3972, 3991

[2] Harrison 21e, pg. 1022-1034

감염 심내막염의 예방

예방적 항생제 투여는 고위험군에서 고위험 시술에서만 투여가 권고된다.

  • IE 고위험군

    (1) 인공판막 또는 심장판막 교정을 위한 인공보형물
    (2) 과거에 감염성 심내막염을 앓은 병력
    (3) 다음과 같은 선천심장질환

       ➀ 수술적으로 교정되지 않는 청색증 심장질환, 또는 대증적인 션트나 conduits,
    ➁ 수술이나 카테터 시술로 완전히 교정되었으나 6개월이 지나지 않은 경우
    ➂ 수술이나 카테터 시술로 교정한 부위에 결손이 남아있는 경우

    심실보조장치(VAD)
    (4) 심장이식 + 심장판막병증 (IIB)

  • 예방이 권고되는 시술

    : 치아 발치, 구강 수술, 잇몸조직/periapical region 시술

    ** diagnostic/therapeutic respiratory, GI, GU, skin, MSK 시술의 경우 2023 가이드라인에서 권고 등급 IIb 로 내림


  • 항생제 선택
    → 가능한 경구로 1회, 수술/시술 직전 30-60분 이내로 투여

    • Amoxicillin 2g PO : standard

    • 경구투여가 불가능한 경우 :Ampicillin 2g IV

    • 페니실린 알레르기: clarithromycin or azithromycin / cephalexin / doxycycline / cefazolin /ceftriaxone
      → clindamycin 은 해리슨 21판 기준으로 regimen에서 제외되었다.


[1]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2] Harrison 21e, pg. 1022-1034

추가 개념

감염 심내막염의 항생제 선택

  • 경험적 항생제

    • 자연판막 심내막염/인공판막 심내막염(수술 후 12개월 이상)
      : Ampicillin + Nafcillin/ceftriaxone + Gentamycin
      (staphylococci, streptococci, enterococci 커버 필요)

    • 인공판막 심내막염(수술 후 12개월 이하), 의료관련 감염
      : Vancomycin(MRSA 커버 필요) + Gentamycin + Rifampin

  • 혈액배양 결과 나온 후 항생제

    • Streptoccoci: Penicillin G or Amoxicillin or Ceftriaxone

    • Staphylococci (NVE)

      • MSSA: Cloxacillin or Cefazolin

      • MRSA: Vancomycin

    • Staphylococci (PVE)

      • MSSA: cloxacillin + Rifampin + Gentamycin

      • MRSA: vancomycin + rifampin + Gentamycin

    • Enterococci: [Ampicillin or Amoxicillin] + [Ceftriaxone or Gentamycin]


[1]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pg.3977-3985

1개의 글


by

뽀잉이뽀식

·

2024년 9월 21일

공부하다 헷갈리게 느껴져서 찾아봤습니다.

Nafcillin은 S.aureus를 위해 사용하고, 그람 음성균 효과는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Ampicillin을 장알균, 그람 음성균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Gentamicin은 synergistic effect를 위해 사용하지만 신독성의 효과가 있습니다.

Ampicillin+Ceftriaxone 조합으로도 사...

👍 3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