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호흡기계 진찰

시진-촉진-타진-청진

기본 개념

시진-촉진-타진-청진

호흡기 진찰에서는 시진-촉진-타진-청진 순서대로 진행된다.

1) 시진

  • 정상 호흡수: 분당 14~20

  • 호흡 리듬 확인

    • Cheyne-stokes breathing: 울혈성 심부전, 요독증, 뇌손상

  • 호흡 대칭성, 가슴 기형 (funnel/pidgeon chest, fail chest)

2) 촉진

  • 성음진탕: 소리가 후두에서 흉벽으로 전달되는 데에 장애가 있으면 감소

    • 증가: 폐실질내 액체(폐렴, 결핵 등 “consolidation”)

    • 감소: 폐실질내 공기 증가(폐기종), 기도폐쇄(무기폐), 흉수, 기흉 등

    ** 국가고시에서 성음진탕의 크기 변화보다도 청진시 호흡음의 크기 변화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호흡음이 증가/감소하는 경우와 성음진탕이 증가/감소하는 경우는 일치한다.

3) 타진

  • 공명음 (resonance): 정상

  • 과공명음 (hyperresonance): 폐포나 흉강에 공기가 찬 경우 → 폐기종, 기흉

  • 탁음 (dullness): 폐포나 흉강에 액체나 조직이 찬 경우 → 무기폐, 폐렴, 흉수

4) 청진

  • 정상 청진 소견

    • 폐포음 (vesicular sound): 말초 폐야

    • 기관지폐포음 (bronchovesicular sound): 1st, 2nd ICS 부위에서 정상적으로 청진

    • 기관지음 (bronchial sound): mediastinum 부위에서 정상적으로 청진

    • 기관음 (trachial sound): 목부위에서 정상적으로 청진

  • 비정상 청진소견

    • 말초 폐야에서 기관지음이 청진되는 경우 consolidation이 있음을 시사


[총정리]

[Key Point]

  • 호흡음 증가: 감염 의심

  • 호흡음 감소, 타진 시 탁음: 흉수, 무기폐 X선으로 감별

    • 흉수: 병변 반대편으로 기도 밀림

    • 무기폐: 병변쪽으로 기도 당겨짐

  • 천명음: 호기시 발생, 하부기도폐색

    • 양측성 천명음 → COPD, 천식 의심, 폐기능 검사 결과로 감별

    • 국소적 천명음 → focal obstruction (이물질흡인, 기관지결석, 기관지결핵, 기관지암)

  • 협착음: 흡기시 발생, 상부기도폐색

    • epiglottitis, croup, laryngomalacia, retropharyngeal abscess

  • 수포음: ILD, 감염, 폐부종(심부전)



[1] StatPearls - Lung Sounds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