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괴저와 괴사성근막염의 차이

  • by

  • 지능의 함정

  • ·

  • 2023년 8월 3일

가스괴저와 괴사성근막염의 임상적 차이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원인균이 다른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문제에서 주어지는 임상상황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1개의 의견

잼잼쌤

·

2023년 8월 5일

출처 : https://www.ksid.or.kr/file/SSTI.pdf

괴사근막염은 근막 및 연조직의 감염으로, 연조직의 광범위한 괴사, 쇼크나 다발성 장기 부전 증후군(multiorgan dysfunction syndrome)과 같은 전신 독성(systemic toxicity)을 동반하는 치명적인질환이다. 병원 감염 괴저(hospital gangrene), 괴사성 단독(necrotizing erysipelas), 연쇄구균 괴저(streptococcal gangrene), 화농근막염(suppurative fasciitis), 회음(perineum)에 발생한 Fournier’s gangrene, Clostridium perfringens와 연관된 가스 괴저(gas gangrene) 등의 다양한 이름과 형태로 기술되고 있으나 감염에 따른 근막과 연조직의 괴사가 발생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괴사근막염으로 불리고 있으며, 최근에는 침범 부위의 위치나 깊이에 관계 없이 괴사 연조직 감염(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실상 괴사성 근막염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지 결국 같은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출처 : https://www.jkoa.org/Synapse/Data/PDFData/0043JKOA/jkoa-42-636.pdf

괴사성 근막염은 질환의 이환 범위와 진행 속도에 따라 전격성(fulminant), 급성, 아급성으로 구분하며, 원인균과 임상 양상에 의한 분류로 I형은 혐기성 또는 facultative 혐기성균과 비 A군(non-group A) streptococcus의 복합 감염으로 보통 외상이나 수술 후에 발생하고, Fournier's gangrene이라 불리는 회음부 괴사성 근막염이 여기에 속한다. II형은 A군 streptococcus 단독 또는 staphylococcus와의 복합 감염으로 소위 살을 먹는 세균 감염(flesh eating bacterial infection)이라 불린다. III형은 clostridium 균주가 원인균으로, clostridium에 의한 가스괴저(clostridial myonecrosis 또는 gas gangrene)라고 불린다. 감염된 조직에 가스 형성은 매우 좋지 못한 징후로, III형은 I, II형 보다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인다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