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 접촉력 있을 때 3개월 H 먼저 주고 TST 검사 하는것
by
파도도파
·
2025년 9월 30일
신생아(생후 1개월)만 그렇게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 생후 3개월은 활동결핵 배제하고 TST검사 해서 음성이면 H먹으면서 8주 후 재검 아닌가요?
그리고 5세미만 bcg 미접종자도 H먹으면서 8주 후 재검으로 알고 있었는데
제가 알던 개념과 위에 색깔 표로 정리된 것이 상충되어 질문드립니다.
2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9월 30일
답변 요점 정리
-
생후 3개월 미만(신생아~4주, 4주~3개월)의 경우
- 아직 피부반응검사(TST) 신뢰도가 낮고, 증상이 비전형적일 수 있어 “먼저 INH(이소니아지드) 예방적 투여 후 일정 시점(만 3개월이 넘고, 노출 시점으로부터 8주 이상 지난 시점)에 TST를 실시”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 즉, ‘신생아(4주 이하) 및 4주~3개월 영아’는 활동성 결핵이 배제되면 곧바로 INH를 최소 3개월간 복용하면서 지켜보고, 이후 영아가 어느 정도 자라(대략 생후 만 3개월 이상) TST 검사의 민감도가 올라갈 때 검사합니다.
-
생후 3개월 이상(3~24개월) 아동의 경우
- 생후 3개월을 넘어가면 어느 정도 TST 검사가 유용해지므로, 우선 TST로 결핵감염 여부를 1차 평가합니다.
- 이때 TST가 음성이면 “‘잠복기 감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우므로 INH를 8주 정도 투여하면서 기다렸다가 8주 후 2차 TST를 재검”하여 최종 결정합니다.
- 2차 검사 시 양성으로 전환되면(또는 해석상 양성 기준에 해당하면) 잠복결핵감염 치료로 이어집니다.
- 계속 음성이면 INH를 중단합니다.
-
5세 미만이면서 BCG 미접종인 아동
- 이 그룹은 결핵 발생 시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아, TST 음성이라 하더라도 ‘윈도 피리어드(window period)’를 고려하여 우선 INH를 복용하게 합니다.
- 이후 8주 뒤 2차 TST에서 음성이 지속되면 INH를 중단하고, 양성이 되면 잠복결핵감염(LTBI) 치료를 진행합니다.
질문에서의 핵심 혼동 정리
- “3개월 H 먼저 주고 TST 검사”는 주로 ‘생후 3개월 미만 아기’(신생아 포함)의 전략입니다.
- “생후 3개월 이상”이면 활동성 결핵을 배제한 뒤 곧바로 TST 등으로 감염 여부를 1차 확인하고, 음성인 경우에 한해 INH를 복용하면서 8주 후 재검을 하는 방식이 맞습니다(질문자분께서 “3개월 이상이면 TST→음성이면 INH 8주→재검”이라 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 BCG 미접종 5세 미만도 마찬가지로 음성이라 하더라도 선(先) INH 투여 후 8주 뒤 재검을 실시합니다.
즉, 질문자분이 “생후 3개월일 때는 일단 TST 검사 후 음성이면 INH 복용하며 8주 후 재검”이라고 알고 계신 것은 현재 권고안과 일치하고, “신생아(1개월)처럼 무조건 3개월 투여 후 TST를 보는 것은 3개월 미만 영아에서 적용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정리하자면
- 생후 3개월 전(만 4주~3개월): 먼저 INH 3개월 투여 후 TST 시행
- 생후 3개월 이상: TST→(-)이면 INH 8주→다시 TST
이 원칙이 질문에서 말씀하신 ‘색깔 표’와 달라 보이는 이유는, 그 표가 ‘3개월 미만’과 ‘3개월 이상’의 나이 구간을 엄격히 구분해 놓았기 때문입니다. 한 달 내외 차이로 전략이 달라지는 만큼, “3개월 경계”에 해당하는 아이가 어디에 속하는지(예: “막 3개월이 된 경우” vs. “아직 2개월 차”)에 따라 적용 방식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보면 위 원칙대로 운용함이 맞습니다.
추가 참고사항
- 접촉력 있는 소아에서는, 활동성 결핵이 의심된다면(2주 이상 발열·체중감소·활동저하 등) 우선 흉부 X선 검사를 통해 적극적으로 활동성 결핵을 배제해야 합니다.
- 영유아의 경우 TST 결과 해석이 성인보다 까다롭고, 특히 생후 3개월 이하에서는 음성으로 나와도 실제 감염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선(先) INH 투여 전략이 권고됩니다.
- 5세 미만 아이가 결핵균에 감염되면 결핵성 수막염 등 중증 감염으로 진행 위험이 높으므로, 잠복결핵감염 의심 시엔 반드시 치료를 권장합니다.
이상 요약하자면, 질문자님이 알고 계신 3개월 이상 아동의 검사→INH 투여→8주 후 재검 방식은 현재 지침과 동일하며, 5세 미만 BCG 미접종 아동도 TST가 음성이라 해도 8주간 INH 후 재검을 진행한다는 것이 맞습니다. 3개월 미만(신생아 포함)에서는 달리 접근한다는 점만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헤이즐쌤
·
2025년 10월 5일
결핵진료지침 4판 기준으로 알고 계신 것 같습니다. 2024년도 5판 개정안 토대로 작성된 개념서이니 검토해보시고 다시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