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병기설정술에서 stage 1a, 1b grade1:완전한 병기 설정술 시행이 무슨 말인가요?
by
도련련
·
2025년 7월 21일
조직검사 했을 때 grade1 이면 이미 완전한 병기 설정술을 시행했다고 가정하고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없다는 뜻일까요?
2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7월 21일
답변 요점 정리
- **“완전한 병기 설정술(surgical staging)”**이란, 단순히 난소 종양조직의 등급(grade)만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수술 중∙후에 난소암의 정확한 병기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술기—즉 자궁적출술(TH)·양측 난소난관절제술(BSO), 대망절제술, 골반 및 대동맥 주변 림프절 절제(또는 적어도 샘플링), 복막 생검, 골반/복부 세척 세포검사 등을 포괄적으로 시행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단순조직검사로 Grade 1이 나왔다는 사실만으로 ‘이미 완전한 병기 설정술이 다 끝났다’고 간주하지는 않습니다. 수술(혹은 수술 수준의 시술)에서 위와 같은 병기 설정 과정을 제대로 거쳤는지가 핵심입니다.
- Stage IA, IB의 Grade 1 상피성 난소암이 ‘완전한 병기 설정술’로 확진되면, 추가 항암치료 없이 경과관찰만 하는 것이 일반적 권고사항입니다.
- 만약 처음 난소수술이 불완전한 범위(예: 난소 종양만 떼어냈지만 림프절∙대망∙복막 생검 등을 하지 않음)였거나, 전이가 의심되는 부위가 수술 후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면, 환자의 상황에 따라 **재수술(병기 재설정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자세한 설명
1) 완전한 병기 설정술이란?
상피성 난소암은 수술적 병기를 통해 최종 병기를 확정하게 됩니다. ‘완전한 병기 설정술(complete surgical staging)’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자궁적출술(TH) + 양측 난소난관절제술(BSO)
- 대망절제술(omentectomy)
- 골반 및 대동맥 주위 림프절 절제(또는 적어도 샘플링)
- 복막 생검(peritoneal biopsy): 전이가 의심되는 모든 부위나 주요 복막 표면에 대해 생검
- 골반/복부 세척 세포검사(peritoneal washing cytology)
이 과정을 통해 암이 난소 국한(IA, IB)인지, 혹은 더 진행된 병기(II 이상)인지 확실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Stage IA, IB, Grade 1에서의 치료 원칙
- 최종 병리검사에서 “난소에만 국한된(IA 또는 IB) 병변이며, 분화도가 좋은(Grade 1) 종양”임이 위의 완전한 병기 설정술로 확인되었다면,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항암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합니다.
- 즉, 완전한 병기 설정을 거쳐 진짜 IA/IB, G1임이 확정된 경우에 한해서 “수술 후 항암치료 불필요 → 추적 관찰”이라는 것이 원칙입니다.
3) 조직검사에서 Grade 1이 나왔다면 추가 조치가 전혀 필요 없는가?
- 단순히 “소량의 조직검사”만으로 Grade 1이 나왔다고 해서 자동으로 ‘완전한 병기 설정술이 시행되었다’고 보지 않습니다.
- 만약 위에서 열거한 병기 설정 술식을 충분히 시행하지 않았다면(예: 난소 종양만 제거하고 종료), 추가 병기 설정술이나 재수술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그러나 만약 이미 표준 수술(TH+BSO+대망절제+림프절절제 등)을 받고, 여러 부위 생검∙세포검사가 모두 음성으로 나와서 최종적으로 IA/IB, G1으로 확정되었다면, 이는 ‘완전한 병기 설정술을 마친 것’으로 간주하고 경과관찰로 이어지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Grade 1이라는 조직학적 정보 하나만으로 추가 조치(수술 혹은 항암치료) 불필요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완전한 병기 설정술의 시행 여부가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미 표준 범위의 수술을 통해 병기가 확인되었다면 추가 치료 없이 관찰이 가능하나, 그렇지 않았다면 (특히 병기 미확정·불안정 요소가 있을 경우) 재수술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헤이즐쌤
·
2025년 7월 28일
불완전한 병기설정술이 이뤄진 상황에서 stage 1a/b, grade 1이 확인된 상황에서는 재수술로 완전한 병기설정술을 시행하도록 권고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