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 강의 - 1.응급의학과-독성학

ACM 19-2

  • by

  • hey1234

  • ·

  • 2025년 6월 28일

일산화탄소 중독은 CO 헤모글로빈을 ABGA로 확인하는 거라고 하셨는데, ACM 19-2 문제에서 왜 3번 동맥혈가스분석은 답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ㅠㅠ


1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6월 28일

일산화탄소(CO) 중독을 진단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는 “카복시헤모글로빈(carboxyhemoglobin, COHb) 농도”입니다. 흔히 임상에서 ‘동맥혈가스분석(ABGA)’이라고 부르는 기본 검사 장비는 산소분압(paO₂), 이산화탄소분압(paCO₂), pH, 중탄산염(HCO₃⁻) 등을 측정하지만, 특수한 ‘코옥시미터(co-oximeter)’ 기능이 없는 기기라면 COHb 농도를 직접 측정하지 못합니다.

질문에서 “일산화탄소 중독은 CO 헤모글로빈을 ABGA로 확인한다”고 듣기는 했지만, 실제로는 다음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1. 기본 ABGA vs. 코옥시미터

    • 일반적인 ABGA 장비는 산소 포화도(SaO₂)를 간접적으로 계산하여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 COHb가 있더라도 이를 ‘정상 산소헤모글로빈’으로 오판하여 SaO₂를 가짜로 높게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 즉, 일반 ABGA나 일반 펄스 옥시미터에서는 COHb가 반영되지 않아 정상으로 보고될 수 있으므로, CO 중독 진단에 부정확한 결과를 줄 수 있습니다.
    • 일산화탄소 중독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COHb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코옥시미터(co-oximetry) 기능이 필요합니다. 일부 ABGA 기기는 코옥시미터 기능을 탑재한 경우가 있지만, 문제에서 “동맥혈가스분석”이라고만 표현된 경우에는 일반 ABGA로 간주되어 CO 중독 확인용 검사로는 불충분하다고 보게 됩니다.
  2. ACM 19-2 문제에서의 함정

    • 시험 문제(ACM 19-2)에서 “동맥혈가스분석”이 답이 아니었던 이유도 같은 맥락입니다. 단순히 ‘ABGA’라고만 쓰여 있다면, COHb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코옥시미터)이 아닌 전통적인 혈가스 측정만을 의미할 가능성이 큽니다.
    • 따라서 CO 중독 진단을 위해 필요한 ‘COHb 측정’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간주하여 정답으로 채택되지 않은 것입니다.
  3. 실제 임상 적용

    • 일산화탄소 중독이 의심되는 환자에게는 코옥시미터가 가능한 혈가스 분석기를 사용하여 COHb를 측정한 뒤, 결과에 따라 고농도 산소 투여(100% 산소) 또는 필요시 고압산소치료(HBO therapy)를 결정하게 됩니다.
    • 단순 ABGA 결과만 보고 CO 중독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ABGA라는 용어만으로는 COHb 측정을 포함하는지(코옥시미터 기능이 있는지) 불분명하므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동맥혈가스분석’은 CO 중독 확진 검사로 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해당 문제(ACM 19-2)에서는 “3번 동맥혈가스분석”이 정답이 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CO 중독을 진단하려면, 반드시 코옥시미터 기능으로 COHb 측정이 가능한 장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