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드립니다.
by
에니지등급
·
2024년 12월 17일
선지에 보면 2번에 콘돔이 제시되어있는데요.
환자의 경우 에스트로겐에 금기증이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념에도 흔하고 간편한 것음 콘돔이라고 되어있는데
월경통이나 생리불순 등 특별히 호르몬을 통한 교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경구피임약을 처방하는 것이 맞는 것인가 생각하여 질문드립니다.
실제 콘돔 경우 실패율도 2%로 낮고, 경구 피임약경우 아무래도 외부에서 호르몬을
보충해준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조심해도 부작용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고, 경구피임약 경우 복용 실수로 약을 빼먹거나하면 오히려 실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꾸준히 약물 복용에 신경쓰는 것보다 간단한 방법을 제쳐두고 약을 먼저 처방하는게 맞을지 질문드립니다.
1개의 의견
헤이즐쌤
·
2024년 12월 22일
콘돔을 정확하게 사용했을 때의 피임 실패율은 2%대로 매우 낮은 편이나, 정확하게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피임 실패율은 20%대까지 증가합니다. 콘돔사용이 부적절하게 이뤄져서 피임 실패율이 높아진 상황에서는 사후피임법을 사용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피임약도 정확하게 일정한 시간에 복용했을 때의 피임실패율은 낮고, 실수로 약을 빼먹거나 하면 실패율은 높아지지만, 약 복용을 skip한지 12시간이내라면 바로 추가 복용한다거나, 그 이상 시간이 지났다면 약을 2일치를 한꺼번에 복용하고 추가 피임을 시행하는 등 각 상황에 대비한 처치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1) 즉, 성공률과 실패율을 비교하고자 한다면 두 방법 모두 비교하셔야하며
2) 실패했을 때의 대처법을 비교했을 때는 경구피임약이 오히려 간편합니다.
3) 호르몬 피임법이 월경불순이나 생리불순이 동반되어있을 경우 필요한 것도 맞지만, 이러한 증상들이 없더라도 경구피임약은 매우 간편한 피임법 중 하나입니다. OTC 피임약 말고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는 피임제들은 상대적으로 부작용위험이 낮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multiple partner등이 있다거나, 다른 이유로 STI 를 예방해야하는 상황이라거나, 여러 이유에 의해 호르몬 피임법의 금기에 해당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경구피임약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시면 됩니다.
여러 국가고시 및 임종평 문제를 한번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