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의식이 명료한데 기관삽관 하는가?
by
메디톡쌤
·
2024년 7월 26일
2024 PE 소아과 1번 문항에서 기관삽관 여부에 대해 명확히 부연하고자 합니다. 알고리즘 상 적혀있는 “maintain patent airway” 및 “assist breathing as necessary”의 해석에 관한 것입니다.
① maintain patent airway
기도를 확보한다는 것은 개별적인 처치입니다.
환자가 기도 폐색의 가능성이 없는(예를 들어 단순 trauma 환자) 경우 jaw thrust를 해주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반면, 처치를 해주지 않을 경우 이후 환자의 기도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 급성 후두개염이나 흡입 화상과 같이 기도의 부종이 진행되거나 천식과 같이 이후 기도가 제한될 수 있는 경우) 기도삽관을 하는 것만이 기도를 확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의식이 있는지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의식이 있더라도 필요할 경우 기도 삽관을 진행해야 합니다.
② assist breathing as necessary
호흡보조라는 것은 아시다시피 백밸브 마스크 양압환기나 ventilator를 통한 기계 환기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제로 돌아가서, 제시된 환자의 경우 소아 서맥 알고리즘에 따라 기도 확보가 필요하고, 호흡곤란을 주소로 왔으므로 호흡보조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문제의 보기 중 이를 위한 처치로는 기관삽관 뿐이 없으므로, 답을 1번으로 골라야 함은 명확합니다. 소아 서맥 상황에서는 respiration과 circulation 중 우선적으로 respiratory 문제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지를 묻기 위한 출제자의 의도 하에 보기를 이렇게 주어준 것으로 판단됩니다.
질문이 많이 올라온 이유는 의식이 있음에도 기관삽관을 하는 것이 과도한 처치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에서 환자가 tripod position을 하고 침을 흘리고 있는 증상을 제시하였거나, 평소 천식을 앓고 있는 과거력을 제시하는 등의 추가적인 조건이 주어졌다면 기관삽관을 고르는 것이 덜 어색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또한, 문제 조건만 가지고는 airway에 문제가 있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보기를 백벨브 마스크로 주어주었다면 기관삽관보다 신속히 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좋은 답이 될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기관삽관 또한 호흡보조라는 측면에서 비정상적인 처치가 아니기 때문에 문제의 답으로 충분히 제시될 수 있는 처치입니다.
참고) 2023 PE 외과 1번 - 해당 문제에서는 백벨브 마스크를 통한 양압환기를 했음에도 서맥이 지속되는 상황이므로 respiration보다 circulation 문제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알고리즘에 따라 circulation에 대한 처치로서 가슴압박이 답인 문제입니다.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