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담관염으로 인한 패혈증이 아닐지 질문드립니다.

  • by

  • 비아120

  • ·

  • 2024년 3월 3일

1. 감별진단을 급성 담낭염으로 말씀해주셨는데, 현재 지문에 황달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lab수치를 보면 총빌리루빈, ALP등이 증가해있는것을 통해 황달이 있는것으로 보아 ‘급성 담관염’을 감별진단으로 잡아야 하지 않을까요?

2. 또한, 만약 급성담낭염이라면 현재 v/s unstable하여 수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원 정답인 수액+항생제치료와 함께) PTGBD(경피적 간담낭배액술)로 배액을 우선 시행해야 할텐데, 선지에 4번이 이에 해당하여 급성담낭염이라면 정답이 2개가 되어 급성담관염이 더 합당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2개의 의견

헤이즐쌤

·

2024년 3월 4일

  1. 우선적으로 CT에서 distended GB, pericholecystic fat stranding이 보이므로 급성 담낭염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한편, 문제에서 황달의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고 CT에서도 총담관 확장이나 담관담석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지만, 말씀하신대로 Bilirubin이 2.1 mg/dL로 mild elevation이 보이고 cholecystic LFT pattern을 보여 biliary obstruction을 의심해볼 수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심한 급성 담낭염 경우에는 담관 주위 염증, 부종 또는 팽창된 담낭으로 인해 담관에 직접적인 압력이 가해지면서 경미한 황달이 발생할 수도 있고, Acute cholecytitis 상황에서 cbd sludge나 cbd stone에 의해 biliary obstruc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두 impression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기 보단 이 경우에선 급성 담낭염에 biliary obstruction 이 동반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합니다. (물론 다른 문제들에선 대부분 명확한 impression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긴 합니다)

  2. 답이 Acute cholecystitis 라면 PTGBD가 필요한 상황이고, acute cholangitis라면 ERCP / PTBD 가 필요한 상황으로 두가지 중 어느 경우에 해당하든, biliary sepsis 이므로 수액공급 및 항생제 치료가 가장 우선적인 치료일 것입니다.

❤️ 2


비아120

·

2024년 3월 4일

자세한 답변으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