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신생아 황달

간외담도 폐쇄증

기본 개념

간외담도 폐쇄증


  • 대개 생후 1주 이후에 황달 나타남, 핵황달은 없다.

  • 간비대, 무담즙변, 회백색변, 진한갈색소변

  • 진단: 복부초음파, 99m Tc-DISIDA, 간생검 등

  • 치료: 카사이 수술 (8주 이전에 해야 좋음)

추가 개념

간외 담도폐쇄증 초음파 소견

Triangular cord (TC) sign

  • 간외 담도폐쇄증 초음파 소견

  • 가장 흔한 형태의 삼각형 깔때기 모양의 섬유조직은 총간담관이 있어야 하는 위치에 삼각형의 고에코성 병변으로 관찰

  • 우간문맥의 우측 전방분지의 앞쪽벽(anterior wall of the anterior branch of the right portal vein)을 둘러싸는 고에코성 벽두께를 측정 >4mm 일때 진단.

99m Tc-DISIDA 스캔 해석

  • 정상 소견

    • 방사성 추적자가 간에서 담즙과 함께 분비되고, 담낭 및 담도계, 최종적으로 소장으로 흐르는 과정이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수 시간 이내)에 확인됨.

  • 간외담도폐쇄 의심 소견

    • 일정 시간(일반적으로 24시간 정도) 관찰 후에도 추적자가 장으로 도달하지 않고 담낭이나 담관 내에만 머무르는 경우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