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CXR,EKG → 나트륨이뇨펩타이드(BNP) 상승 (≥ 35 pg/mL) → 심초음파 (EF <40%)
1차 치료 (GDMT)
울혈/체액 과다: Furosemide
ARNI(ACEi, ARB보다 우선적으로 사용) / ACEi / ARB
안지오텐신수용체-네프릴리신억제제(ARNI): 사쿠비트릴/발사르탄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 : [-pril 제제] :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포시노프릴 등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ARB) : [-sartan 제제] : 칸데사르탄, 발사르탄, 로자탄
베타차단제(BB): 비소프롤롤, 카르베딜롤, 메토프롤롤, 네비볼롤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길항체(MRA): 스피로놀락톤, 에플레레논(Eplerenone)
SGLT2 억제제: Empagliflozin, Dapagliflozin
→ 처음부터 furosemide와 나머지 네가지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
** ACEi, ARB 암기팁: 4월의 에이스, 바보 사탄
4월(April)의 에이스(ACE)
바보(bARBo) 사탄(sartan)
[1] 2022 대한심장학회 심부전 진료지침, pg.39, 90, 94
[2] Harrison,21e. pg. 1947-1951
[1] 2022 대한심장학회 심부전 진료지침, pg.39
[2] 2021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pg.3620
[3] Harrison,21e. pg. 1947-1951
HFrEF가 수축기 기능의 부전 (systolic dysfunction)에 의해 박출률이 감소하는 질환이라면, HFpEF는 수축기 기능(EF)은 보존되어있지만 이완기능의 장애 (diastolic dysfunction)에 의해 박출률이 감소하는 질환이다.
진단
심부전의 증상과 징후가 있고, BNP 상승 (≥ 35 pg/mL), LVEF ≥ 50%
좌심실 이완기능 이상/좌심실 충만압 증가에 부합하는 심장구조/기능이상의 객관적 증거
(좌심실 이완 기능 평가는 심초음파 단원 참고)
→ 5점 이상: HFpEF 확진
→ 2-4점: 이완기 기능 부하 검사 추가 시행
→ 0-1점: 정상
** 2022 ACM1 3교시 46번 문항 참고
치료
이뇨제 (IC), SGLT2i (IB), ARNI (IIA)
나머지 심부전 약제는 class IIb수준으로 권고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